주식시장에서 상승분만큼 다시 빼는 경우와 상승분만큼 유지하는 경우는 어떤 차이로 인해 다르게 나타나는 건가요?
주식시장에서 어떤 호재가 있으면
단기 상승을 하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상승을 한 후에 그 자리에서 유지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경우에 상승 후 다시 하락이 올 가능성이 높은 것이고
어떤 경우에 상승 후 가격 유지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인가요?
이 두가지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호재가 있을 때 단기 상승 후 다시 하락하는 경우는 그 호재가 일시적이거나 시장 참여자들이 단기 이익을 보고 매도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좋은 실적 발표나 단기적인 정책 변화가 호재로 작용합니다. 그러면 투자자들이 급격히 매수하여 주가가 오르지만 곧 차익 실현을 위해 매도하여 다시 하락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호재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경우, 예를 들어 기술 혁신이나 구조적인 변화가 있을 때 주가가 상승 후 그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두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호재의 지속성, 투자자들의 심리, 기업 근본적인 성장 여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시장에서 상승분만큼 다시 빼는 경우와 상승분을 유지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에서는 특정 호재가 뜨면 상승하고 다시 상승분만큼 빠지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즉, 호재가 그 정도로 힘이 있거나 실질적이 아닌 경우 이런 일이 많습니다.
상승하고 그 상승된 것이 자리 잡는다고 하면 반대로 그 호재가 실제 호재라고 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굉장히 설명드리기 어려운 내용이긴한데,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상승하고 나서 원상태로 빠지는 경우는 해당 호재가 잘못 알려졌거나, 또 적당히 빠지는 것은 시장의 과도한 매수세가 다시 시세차익으로 빠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했다가 다시 반등하는 경우는 악재가 잘못 퍼졌을 때이고, 다시 조금 회복하는 경우는 과도한 매도세로 인한 수익실현으로 보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 상황을 뺀다면 진짜 회사실적으로 올랐냐 말았냐의 차이인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이 회사가 실적이 너무 안좋을거라고 다들 생각해서 다 공매도 걸어놨엇는데 생각보다 좋게 나온다면 숏스퀴즈 일어납니다. 그러면 필요이상으로 더 오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필요이상으로 급등한건 단기간내에 반납되곤 합니다.
근데 이번 엔비디아처럼 진짜 실적이 받쳐주는 상태에서 계속 투자자들의 기대를 져버리지 않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내놓는다면 찐으로 오르고 잘 안떨어지는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승 호재가 기업에 정말 도움이 되는것인지 및 실제 순매수가 계속 들어오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호재가 예상보다 실효성이 낮은 경우에, 혹은 매수세가 세지 않을경우에 다시 상승분 반납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해당 호재가 엄청난 호재가 아님에도
단순하게 자금 유입이 되었다가 빠지는 경우가 있는 것이며
해당 기업에 엄청난 호재로 작용할 경우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상승 후 다시 하락하는 경우는 주가 상승을 이끈 호재가 일회성일 때, 즉 기업 실적 발표나 단기적인 뉴스에 기반할 경우에 흔하게 발생합니다. 반대로, 상승 후 가격 유지를 하는 경우는 호재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거나,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될 때 나타납니다. 이러한 두 가지 현상의 차이는 투자자들의 심리와 시장의 전반적인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기본적인 펀더멘털이 뒷받침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상승 후 다시 하락하는 경우는 주로 일시적인 호재나 기대감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때 투자자들이 단기 수익을 실현하려 매도할 경우, 주가는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뉴스나 이벤트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지 않을 때 이런 현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반면, 주가가 상승 후 그 자리를 유지하는 경우는 호재가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동반할 때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투자자들이 장기적인 기대감으로 인해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보유하면서 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결국, 상승 후 주가가 유지되거나 다시 하락하는 차이는 그 호재가 단기적인 기대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실질적인 성과와 성장 가능성을 동반한 것인지에 따라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