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은 즉위 초부터 궁궐을 지어 경제가파탄났다고합니다. 또한 인조반정 이후 조선 후반기 내내 친형 임해군을 죽인 패륜사건과 폐모살제(영창대군 살해와 인목왕후 페위)를 이유로 연산군에 이어 패륜의 군주로 규정되어 왔으며 명나라와 후금의 전쟁 중 강홍립을 파견하여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 점 역시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배신하고 사대를 저버린 것으로 간주되어 인조반정(1623) 이후 조선 시대 내내 광해군은 폭군 또는 혼군으로 즉 판단이 흐리고 어리석은 임금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저도 일등보윤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광해군은 '폐모살제'(인목왕후 유폐와 임해군, 영창대군 죽임)와 명을 배신하여 재조지은을 배신했다는 이유로 폐위되었습니다. 그러나 세자로 책봉되어 선조를 대신하여 분조를 구성하고 민심을 수습하였으며, 대동법, 전후 복구에 매진하였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광해군이 패륜과 폭군에 몰려 폐위된 것은 붕당 정치의 희생양입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을 우리나라의 대표적 폭군으로 불리우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산군의 행적과는 다르게 광해군은 정적들에 의해 과도하게 매도된 것이 아닌가라는 논란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광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피난길에 나선 선조가 분조를 결정하여 자신은 의주로 피신하고 광해군은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를 중심으로 군을 독려하고 백성들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전란 후에는 삼남 지방을 돌려 군을 독려하고 방책을 논의하였으며 민심을 다독였습니다. 선조는 전란 중에 세자로 책봉했으나 전란 후에는 영창대군을 세자로 삼고자 했으나 대북파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게됩니다. 이어 왕위를 이은 광해군은 영창대군을 유배보내 사사하고 인목대비를 서궁에 유폐시킵니다. 이것을 빌미로 서인들의 반감을 사게되고 결국 서인들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어 강화도를 거쳐 제주도로 유배를 당하게 됩니다. 중립외교와 빈민구제책 등과 궁궐의 복원 등 업적도 많이 이뤘는데 폭군으로 불리는데는 당파싸움의 희생양인 측면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