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 GM ⠀
⠀ GM ⠀

주식시장이 버불인지 어떻게 알 수 있울까요?

안녕하세요.

주식시장이 현재 버블이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주식시장이 버블인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그 방식이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버블을 예상하는 여러 지표는 있지만 이 지표에 해당 한다고 해도 무조건 그 상황이

      버블이라고 단정짓긴 어렵습니다.

    • 가장 유명한 버블 지표는 워렌버핏의 버핏지수가 있습니다.

    • 이는 명목GDP 대비 현재 시가총액 전체의 비율로 평가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시장은

      버핏지수로 볼 때 닷컴 버블 이상의 버블 시장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의 핵심 특징은 일반적인 기준을 보면 첫번째는 가격이 기초 가치 대비 과도하게 높은 수준에 도달, 그리고 현재 금융시장이 투기적 거래와 과도한 낙관론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고 이번엔 다르다는 합리화 논리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언론이 도배가 될때, 이로 인해서 주변에서 모든사람이 해당 자산을 이야기할때 입니다.

    즉 버블은 펀더멘털 대비 가격 괴리, 자기강화되는 낙관적 기대, 레버리지와 유동성의 뒷받침, 과열된 참여자 행동이라는 네 가지 요소가 동시에 나타날 때 형성된다고 보셔야합니다. 이에 흔히 이야기하는 밸류에이션의 정략적 지표로 비교해서 볼수있으며 정성적지표인 IPO 기업의 80% 이상이 상장 후 프리미엄 거래한다거나 실적 부진 기업들도 테마주로 급등한다거나 이번엔 다르다라는 광범위한 확산이 도배되거나 전문가들보다 개인투자자들이 더 낙관적으로 보이면서 개미투자자 비중이 전체 거래량의 40% 이상일때는 버블징후로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의 판단은 주가수익비율 PER 지수와 버핏 지수를 보고 판단합니다..

    PER은 기업의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것으로 산업내 평균보다 높은 경우 버블 가능성으로 봅니다.

    버핏지수는 GDP 대비 주식 시장 시가총액 비중을 말하는데요.

    100%가 넘는경우 버블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표적으로 워렌 버핏이 사용하는 버핏 지수가 있는데, 지수는 전체 시장의 시가총액을 한 나라의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해서, 100%를 넘으면 시장이 고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특정 자산의 가격이 기업의 실제 실적이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급등하거나, 투기적 심리가 시장을 지배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보면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