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3

경제에서 마찰적 실업과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요.

1. 경제면에서 마찰적 실업과 자발적 실업도 실업자인지요?

2. 경기 호황기에는 물가와 이자율이 최고로 오르는지도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연실 경제전문가blue-check
    박연실 경제전문가23.06.23

    안녕하세요.

    경제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마찰적 실업과 자발적 실업을 모두 실업의 형태로 간주합니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다른 원인과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마찰적 실업은 취업자나 구직자가 정보의 비대칭성이나 경로 탐색과 같은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인 실업입니다. 이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 취업자나 구직자가 시간을 소요하는 동안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졸업생이나 전직자가 적합한 일자리를 찾기 위해 구직 활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실업입니다. 마찰적 실업은 일시적이고 자연스러운 실업 현상으로 간주되며, 일부 실업률은 이러한 실업을 포함하여 측정됩니다.

    자발적 실업은 개인이 일부러 취업하지 않고 실업 상태를 선택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교육을 받기 위해 일시적으로 취업을 중단한 경우나 가족을 돌보기 위해 일자리를 찾지 않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자발적 실업은 개인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며, 경제 정책의 영향보다는 개인적인 결정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 다 실업의 형태로 간주되지만, 마찰적 실업은 정보의 부족이나 시간이 소요되는 구직 활동과 관련되어 발생하며, 자발적 실업은 개인의 선택에 의해 발생합니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는 이러한 실업 형태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기 호황기는 일반적으로 경제 전반적인 활동이 증가하고 생산과 소비가 확대되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때 물가와 이자율은 일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경기 호황기에는 수요가 증가하고 생산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요와 생산의 증가는 가격을 올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가 상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요 과잉 상태에서는 공급이 따라오지 못하거나 생산 요소의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경기 호황기에는 일반적으로 금융 시장에서 대출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기업과 개인 모두 투자 및 소비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출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출 수요가 증가합니다. 대출 수요의 증가는 금융 기관의 이자율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 호황기에는 중앙은행이 경기 조절 정책을 통해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경기 호황기에 물가와 이자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는 일반적인 경향성이며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경기 호황에도 물가와 이자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거나, 특정 요인에 따라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물가와 이자율은 경제의 다양한 요인과 정책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상세한 분석과 맥락을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찰적 실업은 경제구조가 특정 산업에 치우쳐 있어 다른 부문 근로자들이 직장을 잃는 구조적 실업과 구별되며 경기하강기나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경기적 실업, 계절적 실업과도 다르다.마찰적 실업은 한 국가 내에서 전체 노동의 공급이 수요보다 많지 않더라도 발생하며 호황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마찰적 실업도 실업의 자발적 실업에 속합니다.

    2. 호황기라고 하여 물가와 이자율이 최고로

    오르는 것만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마찰적 실업은 산업 구조 재편과 기술 발전 등에 의해서 발생하게 됩니다. 가령,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주차장 출입구에 예전과 달리 자동 개폐/정산 시스템이 도입되며 해당 인력들의 일자리를 잃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마찰적 실업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자발적 실업은 말 그대로 자발적으로 실업을 택한 이들을 의미합니다. 유럽이나 미국 등 사회복지가 잘 되어 있어 실업 수당이 일하는 것보다 유리할 경우 자발적 실업이 많아지기도 합니다.

    경기가 좋을 때는 일반적으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하여 자산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유동성이 풍부하고 자산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은 낮은 이자율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