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겅보험료는 급여가 높으면 많이 부담하는 가요?
작장인의 경우 건강보험료가 연봉이 높으면 더 많이 부담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상식적으로 모두 균일하게 부담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아니면 병원에 많이 가는 사람이 더 많이 부담하는게 맞는게 아닌가 쉽네요. 어떻게 산점해서 건강보험료를 내는지 궁금합니다.
국민건강보험 공단에서 자세히 알수가 있겠습니다.
세금은 소득과 재산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산출 됩니다.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에서 7.09%를 산출하여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 부담 합니다.
보수월액 이외 소득은 2,000만원 초과시 동일하게 7.09% 건보료를 추가 납입해야 합니다.
-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 보험료율 입니다.
그렇기에 월 보수금액이 클 수록 건강보험료를
많이 납입을 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직장인의 경우 즉 직장 가입자의 경우에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과 보수외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이 되며,
보수외 소득에는 금융소득은 100% 반영이 되며, 연금소득은 반영율에 따라 반영이 됩니다.
즉, 직장가입자의 경우 병원에 많이 가는 사람등 진료에 따른 건강보험이용과 관련이 없이 소득에 따라 산정이 됩니다.
건강보험은 병원을 자주 가던 안가던 상관없이 소득등에 맞춰서 급액이 산정됩니다
이는 특히 저소득층을 위한 것이고 사회보장제도입니다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 (2024년)- 를 보면 가구수, 직장, 지역가입자 등에 따라
구분이 되있음을 검색해보실 수가 있습니다
건강보험료는 급여의 9%를 납부합니다 그보험료의 반은 사업주가 부담하고 반은 급여에서 공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봉이 올라가면 4대보험료도 그만큼 올라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건강보험은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로 나눠지며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월 보수액을 가준으로 고용주와 근로자가 절반씩 부담합니다.
근로소득에서 기준 건강보험율(7.09%)를 고용주와 근로자가 절반씩 부담합니다.
건강보험료 납부금액산출은 전년도 소득, 재산등을 전전년도 대비 증감액을 기준으로 월납입금액을 산출해 부과합니다. 4월에 반영합니다.
연봉이 높을수록 보수월액에 건강보험요율을 곱해서 내기 때문에 건강보험료를 많이 부담하게 됩니다.본인이 50%,사업주가 50%를 부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