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잡이는 언제부터 기원된 건가요?
돌잔치를 하게되면, 그 아이들 앞에 물건들을 두고 돌잡이를 하게 하잖아요. 이런 돌잡이 문화는 언제부터 생긴건가요?
이걸 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돌잡이는 중국 육조시대부터 있었던 풍속으로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부터 사대부와 서민층에 이르기까지 널리 확산되었습니다.
중국의 안씨가훈에는 강남 풍속에 아이가 태어나 한돌이 되면 새옷을 짓고 목욕을 시키고 장식을 단다, 남자는 활과 화살과 종이와 붓, 여자는 칼과 자와 바늘, 실을 쓴다
음식물과 진귀한 옷, 장난감을 아이 앞에 차려놓고 아이의 선택에 따라 장래를 시험한다 라고 기록되어있습니다.
조선상식문답을 쓴 최남선은 돌잡이를 하는 이유에 대해 아이가 태어나 1년쯤되면 앉고 서서 움직이며 슬기와 염량이 발달하니 이를 기회로 삼아 갖가지 물건을 놓고 생각 돌아가는 것을 보기 위해서라고 설명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돌잔치 빠질 수 없는 게 돌잡이 입니다.
돌잔치는 그동안 잘 자라와서 축하 한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고 돌잡이는 그 아이에 미래에 대해서
잘 잘 자라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시작 되었습니다.
국조보감과 정조실록에도 기록으로 나와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옛날에는 질병이 많고 유아의 사망률도 높았기 때문에 아기가 돌을 맞는다는 것은
성장의 초기과정에서 한 고비를 넘겼다는 의미를 지녔습니다.그래서 이를 축하하기 위해 돌잔치를 했고, 그 잔치 순서 중 돌잡이를 진행했습니다.
과거에는 돌을 맞은 집은 돌상 앞 바닥에 여러 물건을 질서 없이 나열해두고
아이한테 고르게 했다고 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돌잔치와 돌잡이는 조선왕조실록(정조)에도 기록되어 있는 만큼 오래된 전통입니다.
그 당시에는 아기의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아기가 돌을 맞는다는 것은 한 고비를 넘겼다는 의미를 뜻하며 이를 축하하는 것이 관습으로 이어졌습니다.
옛날에는 크게 잔치를 벌이기 보다는 돌상에 여러 물건을 나열하고 고르게 했다고 합니다.
돌잡이는 물건을 두 번 고르는데 아이가 잡은 것에 의미를 부여하여 아기의 성격, 수명, 재복, 장래 등을 점쳐봤던 것이 지금의 돌잡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돌은 주(周), 회(回)와 같은 뜻으로 1년을 단위로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첫돌을 맞는다는 것은 성장의 초기과정에서 어려운 한 고비를 완전히 넘겼다는 것을 뜻한다.
옛날에는 질병이 많고 유아의 사망률도 높았기 때문에 아기가 돌을 맞는다는 것은 성장의 초기과정에서 한 고비를 넘겼다는 의미를 지니며, 이를 축하하는 것이 관습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이러한 돌에 대한 행사는 중국·일본에서도 고대부터 있어 왔으며 한국에는 《국조보감(國朝寶鑑)》 정조 15년 6월조 에 궁중에서 돌잔치를 벌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 인사부(人事部) 생산편(生産篇)에는 중국의《안씨가훈(顔氏家訓)》을 인용하여 한국의 돌잔치 풍습이 오래 전부터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경축행사로서 왕실(王室)에서부터 서민(庶民)에 이르기까지 널리 행하여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돌에는 아이에게 옷을 잘 입히고 돌상을 차린 뒤 돌잡이를 하고, 돌 음식을 여러 사람과 나누어 먹는 돌잔치가 관례가 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돌날에는 아이의 일가친척이 아기의 건강과 엄마의 노고를 치하하고 앞으로 아기가 무병 장수할 것을 기원하여 주었습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귀한 자손은 돌잔치를 안 한다"는 말처럼 자손이 귀한 집안에서는 돌잔치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남의 손을 타면 좋지 않고 잡귀가 와서 아이를 해코지한다는 말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지역에 따라 돌잔치 때 아이에게 헌옷을 입히기도 하는데 이것은 아이가 너무 잘생기면 귀신이 시샘하여 잡아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