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3.08.22

조선시대에 휴지가 없었는데 어떻게 일처리를 했나요?

조선시대에는 휴지가 없었는데 화장실에서 볼 일을 보고나서 뒷처리를 할 때 어떻게 처리했나요? 양반가와 일반 양민들이 같은 방식으로 처리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때는 일반 서민들은 지푸라기를 이용하여 닦았으며 양반들은 천을 이용하였다고합니다. 왕은 비단천을 이용하여 닦았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이 볼일을 보고 나면 복이나인이 비단 같은 천으로 닦아 주었습니다

    일반 백성들은 여러가지 풀잎이나 특히 지푸라기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돈많은 양반집에서는 물로 씻는 공간도 있었는데 그곳을 '북수간'이라고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재산이 많은 양반가는 한지같은 종이를 이용해서 닦는 경우가 많았고

    재산이 없는 양반이나 하층민들은 지푸라기를 이용해서 닦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반가들은 북수간이라는 곳을 만들어 물로 씻었고, 일반 백성들은 여러 풀잎이나 지푸라기를 이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과 40-50년 전만 해도 시골의 재래 화장실에 가보면 지푸라기 등이 많이 널려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도 화장실에서 일을 보고 나서는 지푸라기 등으로 해결을 했다고 합니다. 그 이후에는 신문지 등을 구겨서 사용하기도 했지요.


  • 안녕하세요.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에는 휴지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볼 일을 보고나서 뒷처리를 할 때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 볏짚, 풀, 나뭇잎을 사용했습니다.

    • 흙, 모래를 사용했습니다.

    • 해초, 조개껍질을 사용했습니다.

    • 물을 사용했습니다.

    양반가와 일반 양민들은 같은 방식으로 뒷처리를 했습니다. 그러나, 양반가는 더 많은 볏짚, 풀, 나뭇잎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양반가는 뒷처리를 할 때 더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뒷처리를 하는 방법에 대한 규칙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뒷처리를 할 때는 옷을 벗고 해야 했습니다. 또한, 뒷처리를 한 후에는 물을 뿌려서 깨끗이 해야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휴지가 없었거나 종이가 귀하던 조선시대 시절에는 주로 새끼줄을 이용해서 뒤처리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