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용어질문입니다.기업평가에 EPS라는게 정확히 어떤것을 의미하나요?
어려운 용어질문입니다.기업주가가 적당한지 살펴볼때 사용되는 EPS라는게 정확히 어떤것을 의미하나요?알듯말듯하지만 명확한 개념이 어려워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당순이익이라고 불리는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의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유동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합니다.
간단하게 1주당 얼마나 수익을 내었을까를 확인하는 수치로 보시면 되는데,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주당순이익(EPS)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해당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당순이익은 주가수익비율(PER)계산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는 높다고 볼 수 있으며, 그만큼 해당 회사의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EPS는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특히 최근 주식시장의 패턴이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EPS의 크기가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PS는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이 1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내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는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EPS는 기업의 이익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며, 특히 주식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EPS가 높을수록 주식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EPS는 보통 분기별 또는 연간 재무제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업의 성장성과 안정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EPS는 단순히 수치만으로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군이나 기업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비교 대상을 설정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EPS는 '주당순이익'으로 1주당 순이익이 어느정도 되느냐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당연히 이 EPS는 높으면 좋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허정우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 얼마나 버는가?를 의미합니다.
즉 당기순이익/총주식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충 생각하시기 편하게 주식 1주가 어느정도 가치가 있나? 라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당순이익.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 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식시장의 패턴이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주당순이익의 크기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른바 블루칩으로 불리는 대형우량주의 주가가 고가이면서도 여전히 선호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주당순이익이 높은 데서 비롯된다. 주당순이익이 상승하고 있는 기업은 주로 신기술·신제품의 시장지배력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PS라는 것은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서 우리말로는 주당순이익이라고 합니다. EPS는 회사가 특정기간동안 회사의 운영을 통해서 얻게된 당기순이익을 현재 유통되는 총 발행주식수로 나누어 산출하게 되며, 이 값은 회사가 얻게 된 수익을 1주당 어느정도로 배분되는지를 확인하는 지표가 됩니다.
즉, 회사가 운영을 통해서 얼마나 많은 수익을 거두고 주주들에게 배분하게 될시에 어느정도로 배분될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기에 EPS가 높은 기업의 투자가치가 높고 반대로 EPS가 낮은 경우는 회사의 수익성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투자가치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어로, 주당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기업의 전체 이익을 주식 총수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EPS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주주들에게 더 많은 이익을 나눠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PS는 주식 투자자들이 기업 주가를 판단하는 데 참고되며,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좋은 실적을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EPS는 종종 PER(Price Earning Ratio)과 함께 사용됩니다. PER은 주식 가격을 EPS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기업의 주가가 적정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EPS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기업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EPS는 기업의 재무상황, 산업적 특성, 경제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주당순이익을 EPS라고 하며 전체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누게 되면 eps를 구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