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스스로의 한계를 설정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아이가 축구를 할 때, 빨리 달리지 못하겠다며 더이상 힘들어서 못달린다 이제 그만하겠다라고 하거나, 노래를 부를 때 난 이것밖에 못해 라는 식의 말을 하는데요. 이럴때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이럴 때, 아이에게 긍정적인 격려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능력을 강조하고 성취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축구나 노래와 같은 활동을 할 때 아이의 노력에 대한 칭찬을 해주세요. 잘하는 부분을 찾아내고 개선할 점을 함께 고민해보며 자신감을 키워주세요. 또한 아이의 관심을 끄는 다양한 활동을 제안하여 자신감을 키우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아유 자존감이 많이 낮아서 그렇습니다. 되도록 아이가 스스로에 대해서 자존감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가정에서 부모님들께서 아이의 존재에 대한 의미와 소중함에 대해 새겨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칭찬과 아이의 존재를 인정해주시는 게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는게 마냥 나쁜건 아닙니다. 무리하지 않는거지만 그래도 가능성을 접을 수 없기에 아이에게 힘을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스스로 한계를 정한다고 해서 혼내는 것보다 한번 같이 해보자고 - 칭찬을 해주고 응원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부모의 뜻에 따라 이행하지 - 않아도 반복적으로 칭찬과 응원을 하다보면 아이가 시도하는 때가 올 것입니다. -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에게 누구나 완벽한 사람은 없고 실수는 한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도록 하세요. - 한 번 실패 했다고 해서 못한다고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또 도전하고 도전하면서 해낼 수 있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 열심히 활동해 임해야 함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 더나아가 넌 할 수 있어 너라면 충분히 해낼 수 있어 라는 긍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해 주면서 아이에게 용기를 복돋아 주면 -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부모의긍정적경험을이야기해주시는것도아이에게도움이될수있으니 -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조금씩 격려를 해주시면서 아이가 조금씩 늘어가는것에 대해서 칭찬해주시고 지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실패하더라도 비난하지 않고, 격려와 지지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가 노력하는 모습이 정말 멋져! 조금만 더 하면 잘할 수 있어!"라는 식으로 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