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01

현재 한국 가계부채가 심각하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현재 뉴스에서 한국 가겨부채가 심하다고 하는데 어느정도인가요?? 어느정도이기에 금리인상을 조금만 해도 나라가 휘청일 정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개인부채수준은 지난 5년동안 약 20%가 증가하였으며, 전체금액 기준으로는 약 1,870조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심각하다고 말하고 있는 이유는 이 금액중의 80%이상이 변동금리로 구성되어 있어서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이자부담증가가 크게 이루어지고 있다보니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빠르게 소비위축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을 따라서 빠르게 금리인상을 하지 아 환율이 상승하게 된 것도 바로 이러한 가계부채의 규모와 변동금리 구조로 인해서 발생한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채무부담 증가로 내수가 위축되고 이에 따라 소득이 축소되며 다시 채무부담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실물경제가 위축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데 있습니다. 가계부채가 증가하면 유동성 제약이 완화되어 단기적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는 있지만, 가계부채가 과다하게 증가하게 되면,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어나게 돼 오히려 소비가 위축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경우, 은행부문 전반의 위기로 확산될 위험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네 OECD에서도 한국의 가계 부채는 1위입니다. 그것도 압도적으로 입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가계부채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갑니다. 그래서 최대한 안올리려고 하는겁니다. 가계 부채 1위인 이유는 아마 아실텐데, 다들 영끌로 부동산을 투자하다 보니 이꼴이 된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세계 35개 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으로 102.2%에 달 함키다.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가계부채가 경제 규모를 웃도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할 정도로 한국의 가계부채 규모는 크게 상승한 상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