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에 어떻게 천문학이 발달할 수 있었나요?
고구려의 천문도나 신라의 첨성대를 통해 그 당시에도 천문을 연구했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삼국시대에는 망원경도 없었을 텐데 어떻게 별자리의 위치 등을 연구해서 기록에 남겼으며 어떤 이유로 천문분야를 연구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천문학의 삼국시대 이전부터 발달했다고 합니다.
한국의 역대 왕조는 천상을 국가와 왕자의 안위를 내다보기 위한 점성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일·월식의 예언은 곧 국가적 권위를 백성들에게 과시하는 결과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하늘의 현상에 대한 민감성은 천문학을 발전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기원전 108년 한사군 설치 이후 중국 한대문화가 유입되면서 중국의 우주관인 개천설과 혼천설이 들어와서 4·5세기경에는 삼국의 천문학 속에 토착화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먼저 고구려, 다음에는 백제와 신라에서 그 영향이 발견됩니다. 고구려의 여러 고분에 그려진 일월성신도와 그 구조의 특징에서, 특히 백제와 신라의 천문대에서 제1차적 개천설, 즉 천원지방의 사상적 상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천문대로는 신라의 첨성대, 고구려의 첨성대와 백제의 점성대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중 고구려의 첨성대는 그 터가 발굴되었다는 보도가 있으며, 백제의 점성대는 기록만 남아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문학을 연구한 결과 초월적인 것으로 보이는 현상을 예측하고 농업의 경영을 도움으로써 인간을 뛰어넘는 면모를 보여 지배자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왕실과 국왕의 권위를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왕권 강화를 위해 발달했다고도 볼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농업에 힘써왔기
때문에 농사의 절기를 예보하는
천문학은 매우 중요하였습니다.
천문학자들은 하늘의 운동을
관측함으로써 씨를 뿌리고 밭을 갈고
수확하는 시기를 정확히 알 수가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