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천문학의 삼국시대 이전부터 발달했다고 합니다.
한국의 역대 왕조는 천상을 국가와 왕자의 안위를 내다보기 위한 점성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일·월식의 예언은 곧 국가적 권위를 백성들에게 과시하는 결과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하늘의 현상에 대한 민감성은 천문학을 발전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기원전 108년 한사군 설치 이후 중국 한대문화가 유입되면서 중국의 우주관인 개천설과 혼천설이 들어와서 4·5세기경에는 삼국의 천문학 속에 토착화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먼저 고구려, 다음에는 백제와 신라에서 그 영향이 발견됩니다. 고구려의 여러 고분에 그려진 일월성신도와 그 구조의 특징에서, 특히 백제와 신라의 천문대에서 제1차적 개천설, 즉 천원지방의 사상적 상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천문대로는 신라의 첨성대, 고구려의 첨성대와 백제의 점성대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중 고구려의 첨성대는 그 터가 발굴되었다는 보도가 있으며, 백제의 점성대는 기록만 남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