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끝까지반짝빛나는보쌈
끝까지반짝빛나는보쌈

사이토카인 폭풍과 자가면역질환은 비슷한것인가요?

자가면역질환도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일으켜서 자기가 자기몸을 공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이토카인폭풍도 비슷해보여서요!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다고 생각되거나 연관 지을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사이토카인 폭풍'이란 인체에 바이러스가 침투하였을 때 면역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정상 세포를 공격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이란 정상적인 신체 구성 요소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이 염증, 세포 손상 등을 일으킬 때 발생하며 자가 면역 반응이 표적으로 하는 구성 성분을 자가 항원이라고 합니다. 둘의 정의와 발생 원인에는 차이가 있지만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한 증상이라는 점에서는 연관지을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자가면역질환은 면역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자신의 조직이나 기관을 공격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면역 시스템이 보통은 외부의 병원체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자가면역 질환에서는 면역 시스템이 자신의 조직을 잘못 인식하고 공격합니다. 대표적인 자가면역 질환으로는 루프스, 류마티스 관절염, 갑상선 자가면역 질환 등이 있습니다.

    반면, 사이토카인 폭풍은 면역 시스템의 과도한 반응으로 인해 과도한 수량의 사이토카인이 생성되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사이토카인은 면역 시스템에서 염증과 면역 응답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사이토카인 폭풍에서는 이러한 사이토카인이 지나치게 많이 생성되어 조직 손상과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주로 감염, 암 치료, 면역 치료 등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이토카인 폭풍과 자가면역질환은 둘 다 면역 체계의 이상 반응과 관련이 있지만, 그 메커니즘과 영향은 다릅니다. 자가면역질환은 면역 체계가 정상적인 신체 조직을 외부 침입자로 오인하여 지속적으로 공격하는 만성적인 상태입니다. 반면, 사이토카인 폭풍은 급성으로 발생하는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감염이나 특정 치료에 대한 반응으로 사이토카인(면역 신호 물질)이 과다 분비되어 발생합니다. 두 현상 모두 면역 체계의 과잉 반응이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자가면역질환은 특정 조직을 표적으로 하는 반면 사이토카인 폭풍은 전신에 영향을 미치며 더 급격하고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자가면역질환에서도 사이토카인 폭풍과 유사한 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 두 현상 사이에 일정 부분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자가면역질환에 사이토카인 폭풍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이토카인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현상이 자가면역질환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