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아이들의 비속어 사용 문제를 어찌 하시나요?

아이들 세대 문화라고들 하지만 막상 내 아이가 사용하면 어찌 해야하나 늘 고민이네요. 언어 사용도 유행이 있을테고. 무조건 혼내는것도 답이 아닐테고.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비속어를 사용하면 부모님은 당황하거나 화가 날 수 있습니다. 이때 비속어에 집중하기보다는 아이가 말하고자 하는 상황이나 내용을 먼저 이해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들이 비속어를 사용할 때 실제로 그 비속어가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이럴 때에는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아이가 사용했던 비속어가 도대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서로 함께 뜻을 알아보고 그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곱씹어보며 앞으로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되는 표현이란 걸 각인시켜 주어야 합니다. 이때 부모는 무작정 아이가 잘못했다고 윽박지르거나 화내지는 게 아니라 아이를 설득시킨다는 심정으로 대화에 참여하셔야 합니다

  • 아이가 비속어를 사용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또래와 미디어의 영향으로 비속어를 무분별하게 받아들일 때가 많습니다.

    아이의 훈육하고 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정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와 같은 말은 사용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무분별의 유튜브, 텔레비젼 시청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부모들이 적절한 유튜브 시청(특히 게임유튜버)을 할수 있겠 금 제한하고,

    비속어가 어떤의미를 지니는지도 알려줘야 할거 같습니다.

  • 아이들끼리 통하는 비속어가 있습니다.

    아이들의 문화이기 때문에 비속어를 쓰지 않으면 대화가 잘 되지 않을 수도 있지요.

    하지만 비속어를 쓰는 것은 바람직한 행동은 아니기 때문에 아이가 비속어를 쓴다면 단호하게 비속어를 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고, 왜 그 비속어를 쓰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또한 비속어를 계속 쓴다면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라는 것도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모든 세대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시절 비속어는 다 배우지만 어른들 앞에서 하지 않았습니다.

    보이지 않는것은 어쩔 수 없지만 아이가 어른이 있는 곳에서도 비속어를 쓴다면 따끔하게 혼내면서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을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욕설을 쓰는 등 비속어를 쓰는게 버릇이 되지 않도록 꼭

    훈육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아이들이 사용하는 비속어는 어떻게 보면 아이들관계에서 힘을 과시하거나 자신이 강하다는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그럴수있습니다

    아이에게 비속어를 사용하는것은 결코 그러한것이 아님을 설명해주시는것이 좋으며

    대처할만한 말을 알려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아이가비속어를사용할때

    1.잘못된말이라는것을교육함

    2.이러한말은 서로간상처가되고좋지않음을교육

    비속어는유행이 아닙니다

    잘못된언어입니다

    유행적언어라면비속어가아닌 서로 언어유희를 통해나타나며

    잘못된건 혼내고수정시켜야합니다.

    만약 패드립이유행이라면 그걸유행이라고 혼내지않는것은 아이에게 잘못을하는게아니라고하는것과같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