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백질 소혈관질환과 경동맥플라크(경화반)
58세엄마가
*뇌백질경도 소혈관질환과
*경동맥 왼쪽 경화반 2mm/ 오른쪽 1.3mm 비대
결과 받았어요 질문 몇가지만 간곡히 부탁드릴게요..
1). 뇌백질소혈관질환1.논문보면 증상없는 일반인 50대가 건강검진하면 38%정도가
뇌백질 소혈관질환 있다고 나오는데 이 해석이 맞나요? 의사선생님이 검색하셨을땐 50대에 뇌백질소혈관질환 유병률이 38%정도 맞나요? (사진)
2. 뇌백질변성 = 뇌백질소혈관질환 = 뇌백질고강도신호 = 뇌백질허혈성질환 이 네가지가 같은말인가요?
3. 다른 논문보면 뇌백질소혈관질환 있으면 치매위험이 25% (1.25배) 높아진다고하는데 의사쌤이 논문보셔도 이 정도 위험만 있는게 맞나요..?
4. 콜레스테롤 등 다른 위험인자 관리하면 더이상 뇌백질 소혈관질환 진행이 안되나요?
5. 뇌백질 소혈관질환이 진행이 안되면 뇌졸중 위험도 올라가지 않나요?
2). 경동맥 경화반(플라크)1. 2mm경화반은 뇌졸중위험이나 심장병(심장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협십증 등) 몇배까지 올리나요?
2.
2mm경화반은 뇌졸중위험이나 심장병의 위험을 몇배까지 올린다는건
경화반이 없는 사람보다 뇌졸중 및 심장병 걸릴확률이 높다는건가요?
3. 50%확률로 뇌졸중 및 심장병에 걸린다는건지.. ㅠ
저정도 경화반이 있으면 해당 환자의 몇퍼센트가 뇌졸중이랑 심장병이 오나요..
4. 아스피린 복용하면 뇌졸중이랑 심장병 확률 낮아지나요?
3). 경동맥경화반과 /뇌백질소혈관 질환에 대한 진료는 각각 어느과에서 보아야하나요?
1. 뇌백질소혈관질환 + 경동맥경화반이 있으니까 아스피린 복용가능한가요? 지침을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우선 1번 논문으로 제시해 주신 원 논문은 '무증상 건강검진 수검자에서 뇌의 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으로 보이며 2014년도에 게재된 논문으로 보입니다.
해당 논문의 1. 연구대상에 관한 부분을 보면 연구대상의 정의를 '검진목적으로 뇌핵자기공명영상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촬영을 시행한 신경학적 증 상이 없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중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았거 나 약물치료 중인 자를 제외한 294명(남자 172명, 여자 122명) 의수검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해석을 일반인 중 50대의 건강검진 시 38%로 해석을 하기 보다, 무증상자 중 50대의 건강검진 시 38% 정도라고 해석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합니다. 즉, 일반인 중에서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약물치료를 적절히 하면서 건강검진을 받는 인구가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라는 정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유병률이 조금 더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뇌백질변성, 뇌백질소혈관질환, 뇌백질고강도신호, 뇌백질허혈성질환은 그 의미가 비슷하긴 하나 쓰임이 약간씩 다릅니다. 일례로 뇌백질고강도신호라는 말은 MRI와 같은 영상에서 뇌백질이 실제 정상범주의 영상보다 더 고강도로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에, 즉 영상학적인 검사 결과에 따른 표현에 쓰이는 용어이며 뇌백질소혈관질환 중 뇌백질에 피가 잘 전달이 되지 않아 나타나는 질환을 특정지어 뇌백질허혈성질환이라고 표현합니다. 뇌백질변성은 전반적으로 뇌백질의 이상을 포괄적으로 표현하는데 사용합니다.
치매의 위험도에 대한 수치는 논문마다 환자군을 어떻게 상정하느냐에 따라 편차가 있는 편입니다. 따라서 질문자님께서 제시해 주신 1.25배의 수치는 환자군을 어떻게 정의하였는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시면 뇌백질 소혈관질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경화반의 경우 각 크기별의 위험도를 정확히 나타나는 논문자료가 제한적이긴 하나 죽상경화반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서 뇌졸중이나 말초혈관질환 등이 약 10~20%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연구 자료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심장병의 위험도를 올릴 수 있으며 경화반의 병리학적 생성 원인에 따라 아스피린과 같은 약제 복용이 필요하며 이는 신경과에서 의사의 진료를 반드시 받고 복용 여부를 결정하셔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좋은 평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