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새벽공기
새벽공기23.03.01

비누를 거의 다 쓰게 되면 거품이 잘 안나는데 이유가 뭔가요?

비누가 클 때는 거품이 잘 나다가 거의 다 써가게 되면 거품이 잘 안나더라고요.
그래서 궁금한게 비누가 작아지면 거품이 잘 안나는 이유가 있나요?
그리고 이렇게 작아진 비누를 변기에 버렸는데 이것도 일반 쓰레기로 분류해서
버려야 되는지 변기에 그냥 버려도 되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누를 거의 다 쓰면 거품이 안나는 이유는, 비누의 주요 구성 성분인 계면활성제가 부족해져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비누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이 섞이는 것을 도와주는 성분으로, 비누 거품이 생기는 원리는 계면활성제가 물과 기름을 섞어서 표면장력을 낮추고 거품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비누를 사용하다 보면, 계면활성제가 점차적으로 소모되면서 비누의 표면장력이 낮아지고 거품 생성 능력이 약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누를 거의 다 사용하면 거품이 나오지 않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냉철한줄나비274입니다.

    비누는 계면 활성제라는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물과 기름 등 서로 다른 물질 사이의 계면(표면)에서 에서 두 물질을 섞이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하여 비누가 물에 녹아서 거품이 생기는 원리입니다.

    하지만 비누를 계속 사용하다보면, 계면활성제가 거의 모두 소진되어서 물과 기름 등 서로 다른 물질 사이에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비누가 물과 함께 섞여도 거품이 제대로 생기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