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5학년 손자에게 만날때마다 통상 1개월에 2번 옵니다. 용돈을 얼마 정도를 주어야 하는지요?
초등학교 5학년 손자가 1개월에 2번은 반드시 옵니다. 용돈을 얼마 정도를 주어야 하는지요?
많으면 많을 수록 좋겠지만 아이들 경제관념이 어려서 부터 가르쳐야 하기에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할머니 할아버지를 보러 갈 수 있습니다. 한달에 한두번 밖에 오지 못한다고 해서 볼때마다 용돈을 주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여유가 되신다면 한번에 만원~이만원 정도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너무 자주 주지 않으셔도 될것같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손자가 매번 온다고 해서 용돈을 주실 필요는 없을듯 합니다. 아이들은 매번 올때 마다 용돈을 주다 보면 당연히 받는줄 알기 때문에 경제상황이 될때 가끔씩 주시는 것이 좋을듯 하며 3만원~5만원정도 주셔도 괜찮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경제교육을 위해서 한번 용돈 주실때 5천원에서 만원 사이로 주시면 되고 명절이나 생일때 3만원이나 5만원 주심 될거 같네요~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5학년 손자에게는 일반적으로 한 번에 5천 원에서 1만 원 정도의 용돈이 적합하실 것 같습니다. 이는 손자의 지출 습관과 지역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용돈을 주면서 지출 관리와 절약에 대한 개념을 함께 가르쳐주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1개월두면 온다면 할머니 마음대로 주시면 될듯합니다.
5만원씩 주시던 10만원을 주시던 아이의 경제관념은 스스로 때가 되면 알아서 할거지만 지금 5학년이라면 어느정도 안다고 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손주 용돈을 한 달에 두 번 줄 수 있다니 손주 입장에서 매우 좋아 할 것 같네요
요즘 물가가 많이 올라 돈에 가치가 많이 떨어 졌네요
손주 용돈은 할머니 주머니 사정을 넘어서 줘서는 안 됩니다
한 달 두 번이면 정기적인 용돈 인데 아이 부모님에게 받는 용돈도 있을 것 같은데요
아이 나이가 많아 지면서 용돈은 상승 되어야 하기 때문에 잘 맞추어 줘야 합니다
아이 부모님이 주시는 용돈이랑 할머니가 주시는 용돈 합이 5만원을 안 넘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용돈 기입장은 꼭 작성 하게 하고 확인도 해주셔야 아이가 올바르게 용돈을 쓸 수 있고
경제 관념도 좋아 집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손자를 한 달에 2번 만나다 라고 한다면 매번 올 때 마다 용돈을 주시긴 보다는 한 번은 용돈을 주고, 한 번은 간식을 사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하지만 아이가 올 때 마다 용돈을 주고 싶다 라고 한다면 2만원 씩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경제교육은 초등학교 입학 전 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그래야 돈을 어떻게 버는지, 알뜰한 소비방법과 돈을 아껴 써야 하는 이유, 남은 용돈은 저축해야 함을 알기 때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5천원 or 만원 정도 주면 적당하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부모님은 감안해서 용돈 주시고 용돈기입장 쓸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통 고학년에 속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이들은 가정에 한 달에 5만원정도 용돈을 받습니다. 많이 받아도 10만원정도주면 많이 받는 것입니다. 한 달에 두 번 정도 만나신다면 두번중에 한 번 만났을때 오만 원 정도 주시는게 좋을듯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