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왜 제사를 지내고 조상을 모시나요?
인간이 죽으면 한 줌의 재로 사라지는 것을 우리는 왜 조상의 영혼을 위해 음식을 바치고 제사를 지내나요?
물론 그 사람을 그리워해서 자식 된 도리로 묘나 납골당을 찾아가 안부인사 정도는 하지만 얼굴도 모르는 선조의 제사까지 지내야 하는건 이해가 안됩니다.
이런 제사문화가 왜 존재하며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祭祀)란 신이나 신령, 죽은 사람의 넋 등에게 제물을 봉헌하는 의식을 말한다. 따라서 고대 종교의 신전 제의, 가톨릭의 미사 등도 일컫는 폭넓은 개념이지만, 오늘날 한국어에서는 주로 조상제사의 의미로 쓰인다. 이 문서에서는 조상제사를 설명한다.
전세계 어디에나 제사에 해당하는 조상 추모 의식은 존재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제사라 함은 유교적 제례 행위를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교식으로는 기본적으로 사대봉사(四代奉祀)라고 하여 '제주'의 4대조(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까지의 제사를 지내는 것이 기본이었고, 이게 넘어가면 매안(埋安)이라고 하여 신위를 사당에서 옮겨 땅에 묻고 원칙적으로 더 이상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이후 5대조 이상의 조상은 개개인의 기일이 아닌 음력 10월에 동시에 기리는 묘사(墓祀)를 지내거나, 큰 공을 세운 조상의 신위는 시대가 지나도 옮겨 그만두지 않고 계속 제사를 지내는 불천위(不遷位) 같은 예외가 추가되었다.
보통 서양권에서 이 문화를 소개할 때 제사를 보통 Korean Ancestral Rites (한국의 조상에 대한 의례) 라고 하거나 아예 Jesa 로 음역한다.제사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제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한자 문화권 바탕에 한반도의 지역적 특성이 섞여서 형성된 것이다. 고대 중국 상나라(은나라)의 왕 조갑이 주변 토착신을 배제하고 조갑의 직계 조상만 섬기는 조상신 풍습을 만들게 되는데,[5] 이러한 조상을 섬기는 문화에서부터 제사가 시작된 것.
결국 상나라는 주나라에 의해 멸망당했지만 주나라는 위에서 조갑이 퍼뜨린 풍습을 따라 상나라의 제사방식을 이어받았다. 그뿐만 아니라, 상나라의 전 지도층을 제후로 임명해 상나라 조상에 대한 제사를 계속 이어가도록 했다. 이것도 다른 가문의 제사를 끊기게 하면 그 사람에게 제사가 끊어진 조상 귀신들이 재앙을 내린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출처: 나무위키 제사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의 기원은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자연숭배와 연관이 깊다. 고대의 사람들이 신의 가호로 재앙을 피하기 위해 천지신명께 정성을 올린 것이 제사의 시작이다. 우리의 제사는 조상의 넋을 기리고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후손들이 마음을 다해 예를 올리는 전통문화이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토속신앙과 유교문화의 전통때문이지요!
조상을 기억하고 그 뿌리를 찾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의식입니다. 지금은 여러 종교적 이유때문에 제사가 많이 사라져가고 있고, 거치례때문이기도하고... 그러나조상을 기억하고 나의 존재 이유를 생각하는것은 좋은것 같습니다ㅡ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