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붉은연어
붉은연어

12개월 넘게 임신을 하면 어떤 위험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보통 조기출산을 하게 되면 아기에게 아주 위험할수 있다합니다. 반대로 늦은 출산을 하게 되면 어떠한 위험들이 생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늦은 출산은 다양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임신 중독증,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 등이 있습니다. 또한, 출산 시 아기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늦은 출산을 계획하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만 35세 이후 출산을 노산으로 보며, 노산의 경우 임신 확률이 떨어지고 임신 합병증에 걸릴 위험이 커집니다. 또, 다운증후군을 포함해 태아 염색체 이상 빈도도 증가합니다. 고령 산모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임신성 당뇨는 혈당 밸런스를 망가트려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며, 임신 20주 이후부터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노산을 하게 되면 가장 염려되는 부분이 기형아 출산위험 입니다.

    특히 늦은 출산은 노산의 경우 이므로 이 경우는 기형아 출산위험이 2개 정도 높습니다.

    또 늦은 출산의 경우 유산과 같은 위험률이 크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출산이 늦어지게 되면 아기를 위한 산호와 영양분 공급이 줄어들어 합병증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또한 태아의 심장박동에 이상이 생길수 있으며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수가 줄어들게 되며 사망까지 이르게 될수 있습니다. 건강한 아기를 출산하기 위해서는 산부인과 선생님과의 진료를 통해 적절한 관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통 42주라는 기간이 넘으면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출산 합병증이 야기되거나 산모 건강 문제 등이 야기될 수 있어 보통 이 기간이 되면 제왕절개 등을 권유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조산을 하게되어도 아기의 건강과 발달에 문제가 되지만 예정일보다 출산이 늦어지는 상황 또한 굉장히 위험합니다. 산모와 태아가 합병증의 위험이 있고 태아가 아기집이 좁아지며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게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1.난산및태아가산의빈도가높음

    2.신생아경련사망빈도가큼

    참고하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임신 기간이 12개월을 넘으면 이는 의학적으로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며, 실제로 발생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임신 기간은 약 40주, 즉 9개월입니다. 만약 임신이 42주를 넘기면 과숙 임신으로 간주되며, 이는 태아와 산모에게 여러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태아는 성장 문제, 산소 부족, 태변 흡입 등의 위험에 처할 수 있으며, 산모는 자궁 내 감염, 출혈, 제왕절개 등의 위험이 증가하여 즉각적으로 수술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현실적으로 10개월 넘게 임신 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동안 병원을 다니기 때문입니다

    만약 10개월이 넘어 간다면 아기나 산모 역시 매우 위험 합니다

    사망 할 수도 있습니다

    자궁은 아기가 10개월 정도만 머물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 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