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술에 수포가 자꾸생기는데 전염되나요?
피곤하면. 수포가 잘 생깁니다.
터지기도 하고요.
근데 이거 혹시 남한테 옮기기도 하는지?
밥 같이 먹다가 침에의해 옮길수도 있을거 같은데.. 걱정이 되네요.
증상 없을때도 남에게 전염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가장 흔한 원인은 헤르페스 감염에 따른 구순염 입니다. 약간의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항바이러스 연고를 도포하면 호전됩니다. 수포가 터지면 주변으로 번질 수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터뜨리는 것은 삼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신 증상으로 심하게 감염이 확산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신체적으로 피곤하거나 입맞춤 등의 접촉으로 재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헤르페스 심플렉스 type 1 바이러스라는 놈이 보통 신경절 내에서 갇혀 살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입술에 구순포진을 일으키거나 구내염을 일으킵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언제나 재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포를 터뜨리면 퍼질 수 있습니다.
수포가 터졌을 때에는 접촉으로 옮길 수 있으나 증상 없을때는 잘 옮기지 않습니다.
한번 수포가 올라 왔던 곳은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놈들이 다음에 기회가 있을 때 또 올라오기 좋은 자리라는 겁니다. 그러니 그자리에 잘 재발 하겠지요.
보통 아시클로버 연고를 사용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직접 죽이지는 못하기 때문에 낫는데 어느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말하자면 새로 수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 하면 되겠습니다.
하루 5회 증상 호전 후에도 5일 정도는 충분히 사용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술에 생기는 수포는 바이러스에 의해 생깁니다.
헤르페스 바이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생기는데 감염이 되면 상주하고 있다가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생기게 되요
밥을 먹다가 감염이 되기 보다 직접적이 접촉에 의해서 감염이 되는데 정상면역력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이 바이러스는 접촉으로 잘 전염 됩니다.
증세가 호전 되더라도 신경절에 지속적으로 남아 있다가 면역이 떨어지면 재발현 됩니다.
수포가 터지면 특히 잘 전염되며 입술에서도 더 잘 퍼지니 수포는 터뜨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없거나 수포가 없는 상황에는 옮기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단순포진바이러스(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이미 감염된 사람과의 다양한 접촉을 통해 감염되고,
물집이 없을때는 접촉하여도 감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감염된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몸속에 숨어있다가,
열, 스트레스, 생리 등으로 몸이 피곤하거나
면역력이 저하되면 바이러스가 활성화되서 증상이 나타납니다.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상처를 잘 관리해주시면
1-2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좋아지는 경우가 많으나,증상이 시작되고 빨리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으면
치료를 받지 않는 것보다 증상이 빨리 좋아질수 있습니다.안타깝지만 아직까지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완전히 없앨수 있는 방법은 없는 상황입니다.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바이러스는 완전히 없어지지 않고,
몸속에 숨어 있다가 재발하는 경우가 80% 정도 됩니다.재발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건강을 유지할수 있는 노력을 해주시고,
증상이 나타났을때 빨리 치료를 하시는 것이 최선입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술헤르페스(구순포진)은 입술에 작은 수포가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HSV) type 1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감염질환이며 스트레스를 받거나 면역력이 약해질 때, 나이가 들수록 감염률과 재발률이 높아집니다. 대개 입술에 작은 물집들이 모여 생기며, 가렵거나 화끈거림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한번 감염되면 체내에 잠복감염 상태로 남아 있다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으면 숨어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어 증상이 재발하게 됩니다. 재발은 흔한 편이며, 재발 시 마다 증상과 그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개 1주~2주 정도의 경과를 보이며 저절로 호전됩니다.
특징적인 물집모양으로도 진단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 배양검사가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인데, 물집을 터뜨린 후 얻은 검체를 배양하여 판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1-2주내에 자연 호전되기도 하며 항바이러스 연고를 도포하면 더 빠른 호전이 됩니다. 병변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증상이 심하고 합병증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또 자주 재발하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지만,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수포가 올라와 있고 터진 경우에는 신체접촉으로 전염이 가능합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술에 수포가 자주 생겨서 걱정이시군요.
입술에 나는 수포는 단순포진으로 주로 hsv-1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한번 걸리면 신경절에 잠복해있다가 피곤하거나 면역력이 약화되면 다시 발현합니다.
수포가 터지면 그 안에 있는 수포액에 바이러스가 많이 있으므로 전염성이 강하고 다른사람에게 그 수포액이 접촉된다면 전염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다면 바이러스가 잠복상태이므로 전염성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술의 수포는 헤르페스 구순염의 가능성이있습니다.
수포가 난 상태에서, 터지게되면, 타인에게 전염력을 가집니다.
따라서, 뽀뽀를 한다던지, 수포가 터진상태에서 식사를 하면 옮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상이 없다면 전염력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물집이 터지로 궤양이 잡히지 않는 경우라면 점액류의 가능성이 있고, 물집이 터지면서 궤양이 생기는 경우에는 헤르페스 포진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점액류라면 전염되는 것이 아니지만 헤르페스라면 전염될 수 있습니다.
점액류는 소타액선(침샘)의 도관이 파괴되면서 점액 물질이 주변 조직으로 유출되면서 물집모양으로 형성되게 되는 병소입니다.
주로 씹히거나, 찔리는 등의 국소적인 외상으로 도관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별한 치료가 없더라도 물집 모양의 병소가 터지면서 자연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해당 도관이 파괴된 상태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계속 재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적으로 병소 주변의 소타액선을 같이 제거하게 됩니다.
입술에 생기는 포진은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virus, 헤르페스)에 감염되어 생기는 증상으로, 헤르페스 바이러스 중에서도 1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입니다.(생식기의 포진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헤르페스 2형 바이러스입니다.)
일단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치료가 되더라도 바이러스의 일부는 신경절에 잠복하기 때문에 완치가 되지 않습니다.
평소에는 큰 증상이 없다가 면역이 떨어지거나, 스트레스, 치과치료 등에 의한 감염 부위 마찰 및 외상 등의 요인으로 인해 언제든 재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병변이 나타나기 수시간~하루이틀 정도 전부터 가려움, 통증, 따가움 등의 전구 증상이 나타납니다.
처음 수포(물집)가 발생한 후 이후 터지면서 궤양성 병소로 변하며 큰 통증을 수반합니다. 이 시기에 해당부위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진행기 병변이 있을 때는 해당 부위를 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로는 보통 7~10일정도에 저절로 병변이 사라지며 호전되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아시클로버(acyclovir), 발아시크롤버(valacyclovir), 팜시클로버(famciclovir)등의 연고나 복용약을 사용해 치료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입술 주위에 물집이 생긴 것으로 문의주셨습니다. 물집이 터진다면 전염력이 높을 수 있습니다.
보통 단순포진(헤르페스 감염)을 의심하게 되며, 손으로 건드지 마시고 건조상태를 유지하면 시간이 지나며 자연치유가 됩니다.
하지만 장기간 지속된다면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비인후과나 피부과 내원하셔서 진료보시길 권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술 주위에 물집이 생긴 보통 헤르페스 감염을 의심하게 되며, 손으로 건드지 마시고 건조상태를 유지하면 시간이 지나며 자연치유가 됩니다.만약 장기간 지속된다면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며, 이 경우 이비인후과나 피부과 내원하셔서 진료보시길 권합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