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24

뿔 있는 동물은 뿔에 고통 느끼는 신경이 없나요?

사슴 양 등 뿔 있는 동물 있잖아요 가끔 보면 뿔을 엄청 세게 당기는 걸 본 적이 있는데(진흙에 빠지거나 물에 빠져서 구해줄 때 등) 고통을 안 느끼니까 그렇게 당기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경태 전문가blue-check
    김경태 전문가23.09.24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뿔을 가진 동물은 일반적으로 뿔에 고통을 느끼지 않습니다. 뿔은 동물들에게 주로 방어, 싸움, 표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구조물입니다. 뿔은 뼈와 같은 경질화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민감한 신경 섬유가 부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동물들의 뿔은 주로 뿔이 자라는 초기 단계에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며, 이후에는 뿔 자체가 미세한 혈관을 가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 혈관은 뿔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뿔 자체에 통증을 감지하는 민감한 신경 센서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뿔이 부러지거나 상처가 생기는 등의 외부적인 손상은 동물에게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동물은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그 부위를 보호하거나 치유를 위해 행동할 것입니다. 따라서 뿔이 있는 동물이 뿔에 대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통증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슴이나 양과 같은 뿔 있는 동물은 뿔에 신경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고통을 느끼지 않고 뿔을 세게 당길 수 있습니다. 뿔은 뼈가 아니라 털과 같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뿔의 뿌리 부분에는 혈관과 신경이 있지만 뿔의 끝 부분에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뿔의 끝 부분을 세게 당겨도 고통을 느끼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뿔을 자르면 피가 나죠? 피가 난다는 것은 혈관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대부분 혈관이 지나가는 곳은 신경이 함께 따라 갑니다. 왜냐하면 혈관은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는데 그것은 혈관 내부를 조절해 주는 근육과 신경이 함께 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