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4

사람이 물에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사람이 물에 뜰 수 있는 이유가 결정적으로 무엇인가요? 그리고 사람이 물에 뜨는 최적의 방법이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궁금합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7.24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밀도와 부력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밀도가 작은것은 밀도가 큰것에 뜨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물의 밀도 보다 사람의 밀도가 커서 물에 뜨게 되고 또한 물에는 중력과 반대되는 부력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물체가 물에 잠기면 그 물체의 부피만큼 물을 밀어 내고, 밀려난 부피만큼의 물의 무게가 그 물체에 작용하는 부력의 크기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력을 이용하여물에 잘 띄우기 위해서는 물체의 무게는 될 수 있는 한 가볍게 하고, 물체의 부피는 크게 해야 합니다. 물체의 부피가 커지면 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물과 닿는 면적이 넓어져, 부력을 받는 면적도 넓어지기 때문에 더 쉽게 물 위에 뜰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민국 교육부 블로그 - 우리를 물에 뜨게 만드는 비밀 '밀도와 비중의 차이'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건 사고 드라마나 영화,뉴스를 보면 죽은 사람의 사체가 물위로 떠올라 발견되곤 하는데요

    사람이 물에 빠지면 경우에 따라 뜰수도 가라앉을수도 있습니다.

    만약, 물에 빠져 의식을 잃고 완전히 무의식상태로 호흡을 멈추게되면 사람의 몸이 물의 밀도보다 높아지고, 부력이 부족하여

    물속으로 가라앉게 됩니다.

    반면에..의식이 있고 팔다리를 움직여 호흡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물에 떠 있을 수 있답니다.

    팔다리의 움직임을 통하여 물위로 올라올 수 있고 부력과 대항하여 뜰 수 있게 됩니다.

    다만..사람이 신체구조나 체중,부상여부,물의 상태 등에 따라 물에 뜨는 정도가 각기 다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몸은 70퍼센트의물과 지방, 기타무기질, 단백질 등등으로이루어져있고, 폐속에는 항상 공기가 차있어 몸에 부력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물의 부력 때문입니다. 부력은 물체를 물에 넣었을 때 물체를 위로 밀어내는 힘입니다. 부력의 크기는 물체가 물에 잠긴 부피에 비례합니다. 사람의 몸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에 넣으면 대부분의 몸이 물에 잠기게 됩니다. 이때 물의 부력이 사람의 체중보다 크면 사람은 물에 뜨게 됩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정도는 사람의 체중과 몸의 부피에 따라 다릅니다. 체중이 적고 몸의 부피가 큰 사람은 물에 더 잘 뜨게 됩니다. 반대로 체중이 많고 몸의 부피가 작은 사람은 물에 잘 뜨지 않습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것을 돕기 위해서는 몸의 부피를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몸의 부피를 늘리는 방법으로는 숨을 크게 들이쉬거나,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력은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물체를 아래로 인력을 받게 만드는 힘입니다. 물에 떠 있는 사람의 경우, 그 몸의 총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인력이 그 몸을 아래로 밀어내려갑니다. 이로 인해 몸이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물 위에 뜨게 됩니다.

    반면, 부력은 몸이 물에 밀려서 위로 올라가려는 힘입니다. 부력은 물에 담긴 몸의 부피에 비례하며, 물의 밀도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인력과 부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사람은 물 위에 떠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정도는 그 몸의 밀도와 부피, 그리고 물의 밀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몸의 밀도가 물의 밀도에 가까울수록 물에 뜰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지방이 많이 쌓인 몸은 밀도가 낮아져 물에 뜨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사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물의 밀도와 인체의 밀도, 그리고 중력의 상호작용 때문입니다. 물의 밀도는 사람의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사람은 물에 뜨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르키메데스 원리라는 원리가 적용됩니다. 아르키메데스 원리는 "물에 담긴 물체나 물 위에 뜬 물체에 작용하는 부력은 물체가 밀어내는 물의 부피와 같다"는 원리로, 물체의 부피와 밀도에 따라 부력이 발생하여 물체가 물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사람이 물에 뜨는 최적의 방법은 바로 몸을 가로로 뉴턴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즉, 물 위에 편히 누울 때와 같이 몸을 뉴턴 방향과 수직으로 뉴턴을 유지하면 물 위에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면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력이 최대한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물 위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