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7

일제의 산미 증식 계획 목적과 방법, 결과 등이 궁금합니다.

일본은 1910년대 이후 자본주의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농민들이 도시에 몰려 식량 조달에 큰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제의 산미 증식 계획 목적과 방법, 결과 등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27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차 세계대전 중 일본에서는 자본의 급속한 축적으로 농민의 대량 이농과 도시 노동자의 급증이라는 사회현상이 나타났으며 매년 60~70만에 달하는 인구 증가가 발생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식량수급을 악화시켜 1918년 쌀소동이 발생, 이에 일제는 조선에서의 식량증산을 강행해 식량의 안정된 공급을 확보함으로써 자국의 식량부족을 해결하려했습니다.

    총 두차례 시행되었으며 조선총독부는 최초 30년 계획으로 총 80만 정보의 토지개량을 계획하고 먼저 1차로 15년동안 총공사비 2억 4000만원을 들여 42만 7000정보를 개량하고 연간 약 900만석을 증수, 그 중 460만석을 일본으로 가져가려하나 1925년까지 공사착수 예정면적의 59%인 9만 8000정보 가량이 착수되고 준공 예정면적의 62%인 7만 6000정보가 준공, 농사개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유는 불황으로 사업자금 조달이 어려웠고, 특수회사가 설치되지않은점, 토지개량에 의한 수익보다 토지 소유에 의한 수익이 높았던 점 , 농민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던 점입니다.

    이에 일제는 정부 알선자금의 비중을 대폭 높이고 사업 대행기관과 추진기관을 정비해 1926년부터 12년동안 총공사비 3억 3000만원을 들여 35만 정보를 개량해 820만 석을 증수하려는 제 2기 계획을 시행합니다.

    그럼에도 예정면적의 47%인 16만 5000정보를 개량할수 있었을 뿐 2차 계획은 1930년대 실적이 극히 저조했는데 이는 공황기의 쌀 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리조합의 경영 악화, 정부 알선자금의 급격한 감소때문으로 결국 산미증식계획은 농업공황으로 인한 쌀 가격의 폭락, 조선 쌀의 수출에 따른 일본의 농촌경제 악화로 1934년 중단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미증식계획은 일제가 “식민지 조선에서 쌀을 증산하여 일본 내 식량문제를 해결한다”는 목적을 세우고 시행한 정책이다. 1920년대 이후 총 3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제1차 계획’은 1920~1925년에 실시된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畵), ‘제2차 계획’은 1926~1934년에 실시된 ‘산미증식갱신계획(産米增殖更新計畵)’, ‘제3차 계획’은 1940~1945년에 실시된 ‘조선증미계획(朝鮮增米計畵)’이라고 한다. 이것을 총괄하여 일반적으로 ‘산미증식계획’이라고 부른다. 산미증식계획의 결과 식민지 조선의 농업생산 체제는 벼농사 위주로 바뀌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으로 쌀의 반출이 늘어나면서 한국인의 쌀 소비량은 오히려 감소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한국인의 생활은 어려워졌다. 또한 대지주들은 쌀 생산을 통한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토지소유를 확장하는데 주력하였다. 산미증식계획은 식민지 지주제가 강화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출처:우리역사넷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