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8.19

바코드의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우리가 맡으나 어디 가서 물건을 살 때 바코드를 찍으면 상품 정보가 전부 다 나오잖아요 이런 바코드는 어떻게 해서 탄생을 했고 어떤 원리로 작동되는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이진법의 개념으로 줄을 생성하여서 그것을 스캔했을때 특정 정보가 나오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얆은선과 굵은선을 순서에 맞게 배치하여 나열한 방식의 그림문자입니다.

    얇은선이나 굵은선을 0과 1에 매칭하여 이진법을 통해 제품명, 종류, 유효기간 등등의 정보를 기입해둡니다.

    바코드 스캐너로 찍게 되면 해당 그림의 패턴을 읽어 정보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 직접 생성도 많이 해봤는데요


    결론은 두깨가 숫자를 의미합니다

    그 두께요 숫자가 나오는데 그게 해당 물건의 주민등록번호 같은거라고 보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는 검은색 띠로 이루어진 바와 흰색 띠로 이루어진 바의 너비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바코드가 표현하는 숫자나 문자 등의 정보가 인쇄된 바코드의 높이에 따라서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바코드 판독기는 빛을 이용하여 바코드의 검은색 바와 흰색 바의 너비와 높이를 인식하여, 이를 이진수로 변환한 후, 숫자나 문자 등의 정보를 해독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1948년 미국 필라델피아의 드렉셀 공과대학의 대학원생인 버나드 실버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는 식품체인점 업계에서 자동으로 상품정보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소식을 듣고 실버는 이 소식을 친구 우드랜드에게 이야기하면서 현재의 바코드를 발명하고, 1952년 ‘분류 장치와 방법’이란 특허를 냈습니다.

    그들이 생각해낸 바코드 체계의 핵심은 이진법 표시체계였는데요, 최초에는 네 줄로된 바코드로 세 줄짜리 기본 바코드인데, 검은 바탕에 4개의 흰 줄이 그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네줄 바코드인데 세줄 기본바코드라 해서 좀 헷갈릴 수 있지만 이중 1번 줄은 기준선이 되고 나머지 2,3,4번 줄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정해진 곳에 있는 경우 1, 그렇지 않은 것은 0을 나타냅니다.

    이러게 만들어진 줄을 컴퓨터가 읽어서 0과 1의 조합으로 데이터를 만드는 것입니다.

    바코드 아래의 숫자는 0과 1의 조합으로 만든 2진법 데이터를 10진법 수로 바꾼 컴퓨터의 인식 출력값이며 사람이 수기로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결과값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읽어내는 시스템에는 스캐너, 디코더 및 컴퓨터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스캐너에는 레이저 빛을 쏘는 부분과 빛을 검출하는 부분이 있어요.

    바코드에 빛을 쏘면 검은 막대 부분은 적은 양의 빛을 반사하고,

    흰 부분은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하게 됩니다.

    스캐너는 반사된 빛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번역되어 이진수 0과 1로 바뀝니다.

    이는 다시 문자와 숫자로 해석되어 디코더에 의해 컴퓨터가 바코드를 수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뒤에

    호스트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광학 판독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일련 번호로 이루어진 코드입니다. 기본적으로 바코드는 선의 두께와 간격에 따라 정보를 인코딩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바코드(barcode)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코드입니다.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로, 주로 제품의 포장지에 인쇄됩니다. 이런 전통적인 형태의 바코드를 선형(1차원) 바코드라고 합니다.


    바코드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흑백 막대의 굵기와 위치를 통해 정보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은 좁은 검은 막대, 0은 좁은 흰색 막대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바코드에 정보를 저장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읽어 컴퓨터에 전송합니다.


    바코드는 제품의 가격, 제품명, 제조사, 재고량 등의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컴퓨터에 저장되어 판매, 재고 관리, 마케팅 등에 활용됩니다.


    바코드는 1950년대에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그 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바코드는 제품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유통과 물류 분야에서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읽어내는 시스템에는 스캐너, 디코더 및 컴퓨터가 포함되어 있다. 스캐너에는 레이저 빛을 쏘는 부분과 빛을 검출하는 부분이 있다. 바코드에 빛을 쏘면(①) 검은 막대 부분은 적은 양의 빛을 반사하고, 흰 부분은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한다.(②) 스캐너는 반사된 빛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번역되어 이진수 0과 1로 바뀌어 진다.(③④⑤) 이는 다시 문자와 숫자로 해석되어진다.(⑥) 이는 디코더에 의해 컴퓨터가 바코드를 수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뒤에 호스트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1948년 미국의 찰스 울드런과 조지 라코우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그들은 제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었는데, 당시에는 제품을 식별하는 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바코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제품에 있는 흑백 줄무늬를 통해 제품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바코드는 흑백 줄무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흑백 줄무늬의 너비와 간격은 제품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바코드를 읽는 장치는 흑백 줄무늬의 너비와 간격을 측정하여 제품의 정보를 해독합니다. 바코드에 있는 정보는 제품의 종류, 제품의 제조업체, 제품의 가격, 제품의 생산일자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바코드는 상품의 정보를 숫자와 막대 및 간격으로 표현하는 시각적인 부호체계입니다. 바코드의 원리는 광학적인 감지와 정보 인식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 형식은 일차원 바코드와 이차원 바코드입니다.

    일차원 바코드의 원리:

    1. 바코드 생성: 제품 정보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를 바코드 생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바코드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2. 바코드 인쇄: 변환된 바코드를 인쇄합니다. 이때 바코드의 각 숫자나 문자는 두께가 다른 막대와 간격으로 표현됩니다.

    3. 광학적 감지: 바코드 리더(스캐너)는 빛을 사용하여 바코드를 스캔합니다. 스캐너는 빛을 발사하여 바코드의 막대와 간격의 반사를 감지합니다.

    4. 신호 변환: 스캐너에서 감지한 바코드의 막대와 간격의 반사 패턴은 전기 신호로 변환됩니다.

    5. 디코딩: 전기 신호를 바코드 리더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해석하여 숫자나 문자로 변환합니다.

    이차원 바코드의 원리:

    1. 바코드 생성: 바코드 생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품 정보를 이차원 바코드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2. 바코드 인쇄: 변환된 이차원 바코드를 인쇄합니다. 이차원 바코드는 행과 열의 점으로 구성된 행렬 형태이며, 많은 정보를 작은 공간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3. 광학적 감지: 이차원 바코드 리더는 카메라나 스캐너를 사용하여 바코드를 스캔합니다. 각 점의 위치와 색상을 감지합니다.

    4. 신호 변환: 스캔한 바코드의 정보는 전기 신호로 변환됩니다.

    5. 디코딩: 전기 신호를 바코드 리더 내부의 소프트웨어가 해석하여 제품 정보로 변환합니다.

    바코드는 제품 식별과 추적, 판매 및 재고 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광학 감지와 정보 디코딩을 기반으로 상품 정보를 신속하게 인식하고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의 역사는 최초 네델란드 과학자에 의해 특허 등록이 1952년도에 신청되었다가..이후 레이져 기술과 컴퓨터 발전이 보태어져서

    본격적으로 전세계에 적용되기 시작한 시점은 1980년대였다고 합니다.

    이후 1990년대 이후로는 2차원 바코드와 QR코드와 같은 다양한 바코드가 등장하게 되었구요..이후 무선 기술과 모바일 장치의 발전으로

    현재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바코드의 과학적 원리는..

    우선, 상품에 대한 정보 즉, 제품 번호, 가격, 제조일자 등등을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변환하게 되며, 바코드 패턴을 생성하게 됩니다.

    잘 보시면..선과 공백으로 구성된것을 보셨을건데..바코드의 각 숫자와 문자는 특정한 패턴으로 변환되어 인쇄됩니다.

    바코드는 직선 바코드와 2차원 바코드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구요

    이후, 스캐너나 리더기를 통해 광학적으로 해독하여 디지널 데이터로 변환하게 되고, 이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당 상품의 정보가

    확인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바코드는 간편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기록하는데 사용되며,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상품의 추적과 관리, 판매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9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코드는 일련의 검은색과 흰색의 특정 패턴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패턴은 광학식 바코드 판독기로 읽을 수 있습니다. 광학식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의 패턴을 빛으로 읽고, 이 패턴을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변환합니다. 바코드의 정보는 상품의 가격, 제조사, 품목, 유통기한, 원산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바코드는 1952년 미국의 찰스 핸더슨이 처음 발명하였고 1974년 미국의 로버트 노드가 개발한 UPC 바코드가 보편화되면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