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기가 안좋은데 왜 주가는 상승하나요?
체감경기가 안좋은데 왜 주가는 상승하나요? 경기는 안좋은데 주가는 경기침체를 비웃기라도 하듯이 오히려 급등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네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자산격차는 30배가 넘는다고 합니다. 임금(소득)격차 또한 3배가 넘습니다. 최저시급만 받고 사는 사람도 천만여명이고요. 즉 체감경기는 안좋다고 하더라도 이는 저소득층위주고, 일반 중산층이상 사람들은 주식투자도 하고 치킨값이 2배가 올라도 게의치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와 경제 상황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지만 항상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주가는 기업의 수익성, 성장 전망, 글로벌 경제 상황,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때때로 기업의 수익이 예상보다 좋거나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면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체감경기와 주가는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주가가 미래의 기대를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나 정부의 경기 부양책 같은 정책이 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업 실적이 예상보다 좋거나 특정 산업이 성장할 경우 주가는 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는 선반영이 기본입니다. 그래서 경기가 안좋은게 적응아 되면 이제 좋아질거를 생각하고 미리 반영하게 됩니다. 남들보다 앞서야 돈을 벌수 있으니, 주가는 늘 먼저 움직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아무래도 향후 경기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향후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과 금리인하 기대감이
현재 주식시장에 반영되었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체감 경기가 안 좋음에도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나 양적 완화 정책은 시장에 돈을 풀어 주가를 올릴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경제 상황과 무관하게 실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주식 시장은 현재보다 미래의 경제 상황을 반영합니다.
또한, 해외 경제가 좋아지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에 투자해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체감 경기와 주가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몇가지 이유가 있을수 있습니다
체감경기는 안좋더라도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몇개의 대기업만 실적이 좋아도 전체 주식시장은 좋아보입니다 또한 잘나가는 대기업들은 대부분 국내 내수보다 수출비중이 높기때문에 국내경기와 차이가 있을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 전문가 입니다.
지금까지는 미국의 경기가 너무 좋아 인플레이션율이 너무 높아서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현재의 상황은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 위축, 투자 감소, 소형 금융기관의 부실 등으로 경기가 꺾기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경기 침체로 가지 않도록 선재적으로 금리 인하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고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중소형 주 및 성장 주 위주로 올라갔습니다.
말 한대로, 경기 침체기에는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 떨어집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경기 침체가 아닌 연착륙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이고 만일 연착륙이 아닌 경기 침체가 예상되면 바로 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체감경기와 주가의 움직임 사이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여 두 현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체감경기와 주가가 반대로 움직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지표와 기업 실적: 체감경기는 소비자나 일반 대중이 느끼는 경제 상태를 반영하지만, 주가는 기업의 실적과 미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합니다. 기업의 실적이 좋아지고 미래 전망이 밝다면, 체감경기가 나쁘더라도 주가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정책적 요인: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정부의 재정 정책 등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감소하고, 소비와 투자가 촉진되어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반면, 체감경기는 이러한 정책의 효과를 바로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요인: 주식시장은 글로벌 경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해외 시장의 호황이나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 등은 국내 주가 상승을 이끌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국내 체감경기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시장 기대감: 주식시장은 미래를 반영합니다. 현재 경제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투자자들이 앞으로의 경제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면 주가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현재 경제가 좋더라도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면 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 심리와 유동성: 낮은 금리로 인해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할 때, 이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되어 주가를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찾기 위해 주식에 투자하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