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수렴청정할때는 왜 '발'을 치나요?
사극에서 왕실의 대비(?)가 수렴청정을 하는 장면을 보면,
왕 뒤에서 발(?)을 치고 앉아서 신하들과 회의를 하는 장면을 몇번 본 적이 있는데,
어차피 다들 서로의 얼굴들을 알텐데, 굳이 가리개 등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수렴청정의 뜻은 발을 내리고 정사를 듣는다는 말 그대로의 뜻입니다
왕대비가 군신을 접견할때 발을 친것으로 부터 유래 하였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렴은 ‘발을 드리운다’는 뜻이고, 청정은 ‘정사를 듣는다’는 것이지요. 곧 수렴청정은 왕과 함께 발을 드리우고 정치를 하는 것을 뜻합니다. 발을 치는 이유는 조선이 남녀 간의 내외 (內外)를 엄격히 구분하였던 유교 국가였기 때문입니다. 남여 유별의 전통적인 유교 사상의 본보기 입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