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우리나라가 g7정식 국가가 될수 있나요?

최근 일본에서 g7정상회덤이 한창이자나요 이런 경우 우리나라가 초청국 자격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했는데 정식국가가 될수는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초청 및 주요 협력국 수준입니다. G7확대 움직임 속에서 확실한 후보 국가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의 경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국가를 확대한다면 중장기적으로 가능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G7정상회의는 일본이 아닌 캐나다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또한, G7국가가 될수는 없습니다. 이미 7개의 국가가 있고, 확장된 의미의 G20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G7은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7개 선진 민주주의 시장경제국으로 구성된 협의체입니다. 이들 국가는 전 세계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국제 경제, 외교, 안보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협력합니다. G7은 공식적인 가입 요건이나 사무국이 없으며, 매년 의장국이 순번제로 바뀌면서 회의를 주최하고 의제를 설정합니다. 한국은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며, 일부 G7 회원국에 근접하거나 앞서는 경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ICT, 자동차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확고한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G7의 핵심 가치와 부합합니다.

  • 일부 싱크탱크 등에서 우리나라를 G7 포함해야 한다고 제안하고는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G7은 기존 회원국들의 만장일치로 새로운 국가의 가입을 허용하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우리나라가 G7에 가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현재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경제규모, 기술 경쟁력, 민주주의 수준 등 여러 면에서 G7에 견줄 수 있는 역량이 있어 G7 회원국 확대 시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전세계 GDP 순위로 12위 정도니 G7 에 정식국가가 되긴 좀 어려운 상황이긴 합니다

    아시아 국가는 G7 이 일본이 있지만 중국은 아닙니다 결국 미국 입김이 강하긴한거죠

    우리나라 G7 이 될 상황은 아니지만 미국이 강하게 밀어부치면 또 모를 일이긴 한게 현실 같긴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G7 정식 국가가 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현재 G7에서는 적극적으로 호주와 한국을

    G7 국가에 넣자고 주장하는 의견이 나오곤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G7의 정식 국가가 될 수 있는지는 현재 국제사회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주제인데, 한국은 세계 13위의 경제 규모와 선진 민주주의, 첨단 산업 경쟁력, 글로벌 이슈 대응 역량 등에서 기존 G7 회원국에 뒤지지 않는 위상을 갖췄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대표성을 높이고 G7의 전략적 다양성을 강화할 수 있는 최적의 후보로 평가받고 있지만, 회원국 간 합의와 기존 체제의 결속력, 중국과의 외교적 긴장 등 현실적 변수로 인해 단기간 내 정식 가입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