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hswisdom
hswisdom23.09.26

앞으로의 금리 전망? 궁금합니다.

앞으로의 금리 전망? 궁금합니다.


금번 fomc에서는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다분하다고들 예측하시던데요. 그럼 우리나라의 금리도 동결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지 않나 싶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은행은 금리를 올릴만한 대내외 여건이 쉽지 않습니다. 연내 금리 인상은 어렵고 동결을 예상합니다.

    미국의 경우 2차례 FOMC 회의가 있는데 한차례 0.25% 인상하여 5.75%로 마감할 가능성이 큽니다. 예상 보다 달리 물가 제어에 어려움이 큰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3%를 찍고 다시금 3.6%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추가금리인상에 대한 무게가 더욱 실리고 있는 상황이에요. 그래서 올해 연말까지는 현재 금리 수준을 유지하거나 혹은 추가로 금리인상이 한차례 정도 더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부채 수준이 심각하다 보니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fomc에서 11월에 금리를 인상할 확률이

    상당해졌다고볼 수 있고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올릴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모건스탠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현재로서는 금리 인상을 종료했다며 내년 3월 연준의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는 금리동결이 가능성이 높았으나 최근 11월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습니다. 만약 11월에 미국이 금리인상을 진행하고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환율이 크게 오른다면 우리나라 역시 1번의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금리 또한 미국 금리 추이를 따라 가게 되므로 미국 금리 예측이 중요합니다

    우선 미국 금리 관련 전문가 의견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단기적 관점

    - 유가 상승이 지속될 경우, 인플레이션 상승 압박으로 인하여, 2023년 하반기 1회 정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있음

    - 미국, 사우디, 이란 등 각종 협상 타결 시 유가 하락할 경우, 2023년 중 지속적인 금리 동결 후 2024년 금리 인하 예측

    2. 장기적 관점

    - 경기 침체 및 하락 국면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예측되어 장기적 관점에서는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다수

    -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 연착률, 경착률 무관하게, 적어도 2024년 중반 이후 금리 인하 예측됨

    중국의 경기흐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란 핵합의, 사우디를 비롯한 OPEC+ 감산 여부 등에 따른 변수가 많습니다

    보수적 관점에서의 투자 및 자금 운영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