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ETF를 ISA통장이나 연금저축이 아닌 일반 계좌로 구매하는건 바보짓일까요?
최근 환율이 고점이라 판단되어 달러ETF가 아닌 김치판 원화ETF를 구매중입니다.
저도 원화버전은 솔직히 꺼려지는데 환율이 너무 높아 꺼려지더라구요.
그런데 커뮤니티를 보면 ISA나 연금저축이 아닌 일반계좌로 한국ETF를 구매하는건 뻘짓이라고들 하더군요.
저는 ISA는 일임형으로 꽉 채워나서 자리가 없고 연금저축은 돈을 출금할수 없어 천천히 투자할 생각이거든요.
한국형 ETF를 ISA통장이나 연금저축이 아닌 일반 계좌로 구매하는건 바보짓일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계좌로 한국형 ETF를 구매하는 것이 "바보짓"이라는 말은 다소 과장된 표현입니다. 하지만 그 의견의 배경에는 세금 측면에서 효율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ISA나 연금저축 계좌는 ETF 투자에 따른 배당소득세나 매매차익 과세를 절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런 계좌를 활용하면 더 높은 실질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금저축 계좌는 소득공제 혜택까지 제공하니 세제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죠.
하지만 ISA나 연금저축 계좌에 자리가 없거나 유동성을 확보하고 싶다면 일반 계좌로 ETF를 구매하는 것도 충분히 합리적입니다. 일반 계좌에서는 ETF를 매도할 때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되거나, 국내 주식형 ETF가 아닌 경우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세금이 실질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투자 금액, 보유 기간, 그리고 수익률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금을 감안하더라도 투자 목적과 상황에 따라 일반 계좌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환율에 대한 우려로 원화 기반 ETF에 투자하는 전략도 타당합니다. 현재 달러 강세로 인해 환차손 위험이 부담된다면, 원화 ETF를 통해 환율 리스크를 회피하면서 국내 자산에 집중하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다만 환율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을 고려해 분산 투자 전략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일반 계좌에서 한국형 ETF를 구매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는 있지만, 바보 같은 선택은 아닙니다. 본인의 투자 상황, 유동성 필요성, 그리고 장기적인 재무 계획을 고려해 결정을 내리면 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그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본인이 가장 투자하고싶은 투자대상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물론 isa에서 해외주식etf가 세금측면에서는 더 유리할수있지만 자신이 자신있고 확신있는 투자가 더 중요합니다.
1명 평가ISA 또는 연금계좌로 구입하시는 것이 세제혜택을 볼 수 있어서 이득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ISA 통장이나 연금저축이 아닌 일반 계좌로 한국형 ETF를 구매하는 것이 바보짓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 계좌로 한국형 ETF를 구매하는 것은 단기적인 투자 목적이나 자금 유동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