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하루하루
하루하루

무아과는 꽃을 어떻게 피우는가요?

무아과는 어떻게 수정하고 꽃을 피우는가요?

열매를 맺고 과일을 먹기는 했으나 꽃을 본적은 한번도 없는것 같아요. 어떤 식으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무화과는 꽃이 없는 열매과실 나무입니다.

    하여 명칭도 없을無, 꽃花 를 사용하여 무화과 입니다.

    하지만 사실 무화가는 열매 자체가 꽃이라고 합니다. 열매내부에 있는 붉은 부분이 꽃이고 껍질이 꽃 받침 이라고 합니다.

    내부의 씨앗은 각 꽃송이마다 맺힌 열매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화과는 겉으로 봐서는 아무리 찾아도 꽃을 볼 수 없죠. 하지만 무화과를 따보면 열매처럼 생겼지만 사실 속의 먹는 부분이 꽃입니다.

     즉 우리의 눈에 보이는 열매 껍질은 사실 꽃받침이며, 내부의 붉은 것이 꽃이죠. 무화과의 과즙 또한 엄밀히 말하자면 무화과꽃의 꿀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화과(Ficus spp.)는 꽃을 먹는 식물이란 별명이 있고, 뽕나무과 식물로 열매 자체가 꽃입니다. 꽃이 없이 과일이 달린다고 무화과라고 부르지만 사실 열매로 부르는 부분이 꽃이고 무화과의 껍질이 꽃받침 입니다. 무화과의 꽃받침과 꽃자루가 주머니처럼 커져서 꽃이 그 주머니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꽃이 없고 과일만 있는 것처럼 보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성 과학전문가입니다.

    무화과 나무는 꺾꽂이나 물꽂이로 재배를 많이 합니다.

    다른 나무에 비해 뿌리가 나는 확률이 상당히 높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무화과 꽃입니다. 붉은색의 꽃이 이쁘네요.

    참고로, 무화과 씨앗으로 싹을 틔우면 무화가가 열리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번식을 시키기 위해서는 꺾꽂이나 물꽂이로 번식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아과가 아니고 무화과를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흔히들 꽃이 안핀다고 생각하시지만 안에 작고 빨간 알갱이들 즉 우리가 먹는 이 부분에서 꽃이 피는 겁니다. 무화과의 껍질이 꽃받침이 되고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무화과를 따보면 열매처럼 생겼지만 사실 속의 먹는 부분이 꽃입니다. 우리의 눈에 보이는 열매 껍질은 사실 꽃받침이며, 내부의 붉은 것이 꽃이다. 무화과의 과즙 또한 엄밀히 말하자면 무화과 꽃의 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