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0

저성장 고물가는 언제까지 지속될 것일까요?

경제적으로 성장속도는 미미하여 직원들의 월급도 많이 오르지 못하는데 물가는 너무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거기에 전기, 가스료도 오르는데 이렇게 경제가 지속될 수 있을까요? 계속 이럴 수도 있다고 하면 모든 국민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blue-check
    이대길 경제전문가23.05.20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자가보유율이 60프로정도에 다가 소득격차는 약4배

    자산격차는 20배이상입니다

    계란이 만원까지 올라가도 사는사람이 많기 때문에 가격을 내리지 않는겁니다

    전 세계에 대부분의 나라는 빈부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고 우리도 진행중입니다

    그래서 진보계열 정치인들이 부자들의 토지에 세금을 멕여서 전국민 기본소득으로 분배하자고 주장하는겁니다

    기본소득은 선진국 몇몇 국가에서 시범적이고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월300만원씩 주는게 아니라 월 5만원 10만원 주는겁니다

    그리고 수십만평씩 갖고 있는 부자들이 너무 많은데 토지보유세가 1프로도 안되니 계속 갖고 있는거죠

    개발될때까지. 마치 갭투자처럼요

    현 정권은 성장먼저를 내세우는 보수우파입니다 위에서부터 잘되면 결국 서민들까지 잘살게 된다는

    낙수효과를 말하기 때문에 대기업등이 잘되야 서민까지 효과가 나겠죠

    우리는 다 떠나서 투잡 쓰리잡 해야합니다 지금도 저는 배달하고 왔습니다

    누구도 도와주지않습니다

    질문중 " 모든 국민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지 않을까요? : 하셨는데요

    모든이 아니고 하위 40프로만 저하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거의 모든 국가들이 저성장을 하게 되는 이유는 작년부터 시작된 빠른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시중의 유동성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이 금리인상의 목적이 '고물가'를 잡기 위한 것이었다 보니 현재 높아진 물가는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쯤에는 내려가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고금리 시장기조는 올해 연말까지 유지가 될 것이고 경기침체에 따른 금리인하 시점은 빠르면 올해 연말 늦으면 내년 2~3월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금리인하를 통한 경제 부양의 효과는 대략 6개월에서 1년뒤에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저성장 기조는 내년 중순까지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현재 잡히고 있습니다.

    언제까지나 고금리가 유지될 순 없고

    경기침체 등이 우려가 되는 등 한다면

    금리가 내려갈 것이나 그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