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관세협장 과정에서 마스가라는 단어가 많이 보인던데...

이번 관세협상 과정에서 마스가라는 단어가 많이 보이던데..

이건 어떤 내용을 의미하는 건가요?

트럼프가 뭔가를 요구한 내용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마스가는 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으로서 정부와 국내 조선 빅3업체들이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원팀 테스크 포스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한국과 미국은 최근 관세 협상에서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하기로 합의 했으며, 산업통산자원부와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의 조선 빅3 업체는 한미 조선 협력 강화하기 위한 TF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처음 들으면 외래어인가 싶기도 한데 알고 보면 그냥 뉴스 자막 스타일에서 만들어진 표현입니다. 마스가는 mass agreement 또는 mass scale agreement 같은 걸 줄인 비공식 용어로 보입니다. 정부 공식 문서엔 안 나옵니다. 의미 자체는 대규모 일괄 합의 정도로 해석되는데 이번 관세협상에서 여러 품목을 한꺼번에 묶어서 조정하거나 타결한 걸 말할 때 자주 썼던 표현입니다. 트럼프 쪽에서 구체적으로 마스가라는 말을 언급한 건 아니고 미국 측이 자국 내 전략 산업 보호를 전제로 한국의 조선이나 이차전지 같은 분야에서 일정 협조를 받는 조건으로 관세 인하를 받아들인 구조입니다. 특히 선박 건조나 정제설비 계약 얘기가 뒤섞여 있으면서 마스가라는 말이 강조된 것 같습니다. 그냥 쉽게 말해서 큰 덩어리로 묶어서 한 번에 처리한 협상이라고 보면 무난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MASGA란 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입니다 .즉, 미국 선박 제조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이며, 이에 따라 미국에 조선사업에 투자를 하는 것을 뜻합니다. 현대전에서 항공모함 및 선박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선박에 대한 건조가 미국내에서 불가능하기에 이러한 산업에 대한 투자를 요청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약 1500억불의 투자를 약속하였으며, 이에 대한 수익도 대부분 미국에 귀속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마스가(MASGA)’는 “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의 약자를 말하며,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를 말합니다. 미국은 현재 조선산업 활성화를 위한 여러가지 전략을 구상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조선업의 강점을 활용해 관세협상에서 활용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