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짜증을 내면서 이야기하는 경우, 조금 기다려주는것도 괜찮을까요?
짜증내면서 말하고, 이유없이 짜증낼때, 지금은 이야기 할 기분이 아닌듯 싶으니 차분하게 말할 수 있을때 다시 이야기하자.로 잠깐 끊어주는것도 괜찮은 방법이 될 수 있을까요? 7살아이입니다.
짜증이 많은 아이로 인해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해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부릴 때는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면서 조금 기다려 주세요
짜증을 부린다고 원하는 것들 다 들어 주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마음이 진정이 되면, 올바른 표현 방법을 가르쳐주세요
올바른 표현에 칭찬과 보상을 해주세요
말씀 하신 대로 차분하게 말할 수 있을 때 이야기 하자로 잠깐 끊어주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면서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는 조금 기다려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단순하고 반응이 빠른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들이 짜증을 내고 나서 생각할 시간을 조금 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시간을 통해서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자기 행동이 잘못됐다는것을 인지하는 시간을 가진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잘 움직여 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이유없이 짜증을 내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수단이기도 하는데요,
아이가 짜증을 내면서 이야기를 전달 하고자 한다면 잠시 아이의 기분을 살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준 후, 나중에 자신의 생각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좋으나,
하지만 짜증을 내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표현하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짜증을 낸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짜증을 내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을 하고자 할 때에는 짜증을 내지 않고 언어로 부드럽게 조곤조곤 전달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네, 아이가 짜증을 낸다면 잠시 기다려 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진정이 되면 이야기를 할 거라고 말해 주시고, 아이가 진정이 되면 차분히 이야기를 하는 경험을 반복시켜 주시는 게 좋아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7살 아이가 짜증을 내며 이야기할 때, 조금 기다려주는 접근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짜증을 낼 때는 감정이 격해져 있어 논리적인 대화나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감정을 가라앉히는 시간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짜증을 낸다고 해서 무시하거나 급하게 말을 강요하기보다는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 더 큰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지금은 짜증이 나서 이야기를 할 기분이 아닌 것 같아. 조금 기다린 후, 차분하게 이야기하자." 라고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왜 기다려야 하는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명확하게 말해 주세요. 아이가 짜증을 내려놓고 차분하게 대화할 때 칭찬을 해 주세요. "차분하게 말하려고 노력했구나. 잘했어!"라는 식으로 아이의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아이가 감정을 조절하고, 대화를 다시 이어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점을 참조하시어서 아이를 잘 지도를 해주시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짜증을낼때
1.잠깐기다려주는게좋음
2.스스로생각하고감정이진정된뒤 이야기하기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의 짜증을 느꼈을 때 잠시 기다려주는 것은 매우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감정을 가라앉힐 시간을 주는 방식으로 대응하면서 아이에게 감정 조절 방법을 자연스럽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낼 때 부모가 즉시 반응하거나 상황을 해결하려고 하면 오히려 더 화가 나거나 불안해 할 수 있습니다. 아이는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짜증을 내는 것은 그 감정이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