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국어에서 모음탈락이 나오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두 모음이 연속될 경우 하나의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주로 어떤 경우에 나타나는지 예를 들어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우리말에서 모음 탈락은 두 모음이 연속될 때 그중 하나가 발음의 편의를 위해 탈락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용언 어간이 'ㅡ'로 끝나고 뒤에 '-아'나 '-어' 같은 어미가 올 때 'ㅡ'가 탈락합니다. 예를 들어 '쓰+어'는 '써'로 '담그+아서'는 '담가서'로 바뀝니다. 또 '가+아서'는 같은 모음 'ㅏ'가 겹치므로 '가서'로 바뀌는 식의 동일 모음 탈락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매개모음 '으'가 자음 뒤에서 탈락하거나 조사 '-으로'가 모음이나 'ㄹ' 뒤에 올 때 'ㅡ'가 탈락하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모음탈락은 자연스러운 발음을 유도하기 위한 음운변화의 한 형태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두 모음이 연속될 때 하나의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을 '모음'탈락' 혹은 '모음 축약'이라고 부릅니다. 주로 용언의 활용에서 나타나며, '으'모음 탈락과 '동일 모음 탈락' 두 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먼저, '으'모음 탈락을 살펴보겠습니다. 어간의 끝소리가 '으'로 끝나고, 그 뒤에 '-아/어'와 같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때 '으'가 탈락하는 현상입니다.

    쓰다 + ~어 → 써, 크다 + ~어 → 커, 예쁘다 + ~어서 → 예뻐서, 아프다 + ~아도 →아파도 등이 그 예가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동일모음 탈락을 보겠습니다. 어간의 끝 모음과 어미의 첫 모음이 동일한 경우, 둘 중 하나가 탈락하는 형상으로, 주로 '아'와 '어'에서 나타나게됩니다.

    가다 + ~아 → 가, 자다+ ~아서 → 자서, 서다 + ~어 → 서, 건너다 + ~어서 → 건너서 등이 그 예가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국어의 여러가지 발음 문법 규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성격자체를 먼저 잘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국어는 특이하게도 저 먼 곳에 위치한 터키어와 같이 단어에 조사나 어미가 붙어서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는 언어입니다.

    • 모음탈락도 결국 이 어미에 의한 변화 과정에서 발음하기 편한 방식으로 중복모음의 탈락이 이루어진다고 원리를 이해하셔야 기억에 오래 남겠습니다.

    • 즉 대표적 예로 크다..라는 기본형이 이유를 나타내는 어미와 결합 커서...로 변화가 되면서 기본형의 '으' 모음이 탈락된다는 것입니다... 크어서..라고 발음하면 편하지가 않고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자연스런 커서...로 변화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