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Youangel
Youangel

LID 증후군이 어떤뜻인지요?

안녕하세요? TV 경제 기사에 관련 뉴스를 보다가 LID 증후군이 우리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점점 커진다라고 표현하던데요 이 증후군은 무엇인지 알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LID증후군이라고 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고독한 노인들이 겪게 되는 상실(LOSS), 소외(ISOLATION), 우울(DEPRESSION)을 합한 단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LID증후군이란 나이가 들면서 느끼는 상실감(Loss), 소외감(Isolation)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울증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녀들의 독립과 사회·경제적 활동의 감소, 신체 노화로 인한 외출 감소 등이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LID 증후군은 'Low Interest rate, Income inequality, Debts'의 줄임말로, 저금리, 소득불평등, 부채 문제를 아우르는 표현입니다. 최근 세계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점을 압축적으로 나타낸 용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LID 증후군의 각 요소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저금리 (Low Interest rate)

      - 초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자금의 투기적 운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실물경제로의 자금 흐름은 약화된 반면, 부동산,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의 쏠림이 심화되는 모습입니다.

      - 이는 자산 버블, 금융 불안정성 증대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2. 소득불평등 (Income inequality)

      -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사회 전반의 불균형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소득 불평등은 소비 위축, 성장 동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또한 사회 갈등 증폭, 정치적 불안정 야기 등 경제 외적 리스크도 키우게 됩니다.

      3. 부채 (Debts)

      - 가계부채, 기업부채, 정부부채 등이 경제 전반의 리스크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특히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정부 부채가 크게 늘어난 상황입니다.

      - 경기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부채 부담은 경제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LID 증후군은 상호 연관성이 높아, 특정 요인의 문제가 다른 리스크 요인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소득 불평등 심화는 경제 성장을 둔화시켜 부채 문제를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이죠.

      이에 LID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금리 정상화, 포용적 성장, 부채 관리 등 종합적 처방을 통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죠.

      구조적 대전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 실물경제와 금융의 균형 등을 도모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고독한 노인들이 겪는 상실(Loss), 소외(Isolation), 우울(Depression).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LID 증후군이란 현대 사회에서 고독한 노인들이 겪는 상실(Loss), 소외(Isolation), 우울(Depression) 등의 증상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LID 증후군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LID는 Loss, Isolation, 그리고 Depression 의 약자로 상실감, 소외감, 그리고 우울증을 의미합니다.

      이런 것은 특히 증가하는 1인 가구 그리고 고령의 1인 가구 사이에서 많이 나타나며

      이렇게 되면 경제적으로는 이들에게 들어가는 복지 비용이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