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영험한노린재75
영험한노린재75

막대사탕 먹고나면 막대에 동그란 구멍 뭔가요?

막대 사탕을 다 먹고 나면 사탕이 있었던 부분에

동그란 구멍이 있습니다.

그 구멍은 왜 있는 거고

구멍의 용도가 무엇인가요?????????????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남다른고니180
    남다른고니180

    옛날에는 막대사탕의 막대가 종이 재질로 되어 분리 되지않았지만

    종이 막대는 물이 묻으면 휘어지고 훼손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막대가 나왔는데

    플라스틱 막대는 표면이 미끌해서 막대와 사탕을 고정하기 위해서 구멍을 뚫는 것 입니다.

    막대 사탕 제조과정에서 막대기의 구멍에 녹은 사탕이 들어가서 굳으면서 사탕이 막대에서 분리 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 대부분 그 구멍이 아이들이 먹다가 목에 걸렸을때 대비해서 만든 숨구멍으로 알고있는데 사실은 그거를 위해서 만들어 진것이 아니고 그냥 막대기에 사탕을 만들면 사탕이 잘 빠져버리기 때문에 녹여서 굳힐때 저 구멍에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서 아무리 당겨도 빠지지 않게 만든것입니다 마치 갈고리 처럼요! 궁금증이 풀리셧길 바래요~

  • 당으로 만들어진 사탕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막대가 결합해서 막대 사탕이 만들어지지요?

    서로 다른 매질인 두 구성물질이 단단하게 고정되는것은 그 물질의 점성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때문에 그 구멍이 없으면 막대와 사탕이 분리되어 포장지 내에서 따로노는 즉, 불량품이 양산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플라스틱 막대에 구멍을 뚫어 넣으면 일부 사탕이 굳기전에 그 구멍으로 들어가 마치 핀으로 막대와 사탕을 결합시키는 효과가 나겠지요?

    결국 불량률을 줄이기 위한 굿 아이디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