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곧 결혼식에 가는데 축의금은 얼마나 내야할까요?

지인의 결혼식에 가야하는데 축의금을 얼마나 내야할 지 고민입니다. 지금 5만원내면 결혼식하는 입장에서는 완전 적자라고 하는데 그 이상은 또 부담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씩씩한메추리59
      씩씩한메추리59

      안녕하세요. 비장한딱새184입니다.

      분이 깊은 경우에는 축의금을 더 많이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가족이나 친구, 직장 동료 등 친분이 깊은 경우에는

      10만원 이상의 축의금을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냥의입니다.

      앞으로 계속 볼 사이라면 10만원은 최소한도인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굳이 눈치볼 필요는 없겠으나, 저는 그냥 10만원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늘거리는담장새59입니다.

      받은만큼 내는게 요즘 대세이긴 합니다.

      받은게 없고 얼굴만 아는 사이라면 가지않고 5만원

      계속 봐야하고 어느정도 친분이 있다면 가서 밥먹고 10만원이 적당하지요.

    • 안녕하세요. 털털한호랑나비508입니다.

      결혼식 가지않고 5만원 이체하면 적자는 아니예요.

      참석한다면 식대가 비싸니 5만원이상 해야 할거예요.

    • 안녕하세요. 까칠한븍극곰50입니다.

      요즘 같은 고물가시대에는 뭐든지 부담스럽기 마련입니다.

      저는 보통 가든 안가든 5만원 내고 끝냅니다.


    • 안녕하세요. 보랏빛비쿠냐170입니다.

      축의금은 보통 받은만큼 내긴 해요. 저는 참석안하고 5만원 참석하면10만원 아주 친한친구면 20만원을 줘요!

    • 안녕하세요. 청초한멧토끼180입니다.

      친분에따라 다르겠지만

      혼자가신다면 그간 밥값인상 적용한다면

      7만원도 많이하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향기로운고라니280입니다.

      결혼식에 부부동반일 경우 평균20만원을내고

      1년에 한두번 보는사이라면 10만원을 낸다고합니다

      요즘 음식값도 비싸서 평균 혼자갈때 10만원은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가한무당벌레24입니다.

      5만원도 적지않은 금액이라 생각합니다.적자또한 아니구요. 상황에따라 친분에따라 금액을올릴순 있지만요.

      어느정도 가까운 지인이시면 5만원 잘하신것 같아요

      10만원은 다소 부담스러울수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