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2.09

조선시대 한의학의 역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한의학은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되었고 어떤 방식으로 발전 되어왔는지 발전 과정 에 대해 역사적으로 기록이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기술이 전수 되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이에 따라 삼국 시대의 의학에 관련된 기록을 많이 찾아볼수 있습니다. 신라군이 백제 ,고구려, 당나라와 싸울때 병참 보급품으로 우황, 인삼 등 약재를 갖고 다니거나 머리카락 , 자석 등 응급처치 도구로 사용할수 있는 물자를 운용하기도 했고, 나당전쟁이 끝난 후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사 최초의 국립의과대학인 의학을 효소왕 재위기인 692년 설립해 의료인을 배출하는 산실을 일구었습니다.

    신라의 의학에서 본초경, 갑을경, 소문경, 침경, 맥경, 명당경, 난경을 기초 교재로 삼고 2명의 박사를 두어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일본의 옛 역사 기록에 백제신집방, 신라법사방 등 신라나 백제의 처방이 기록되거나 의사의 행적이 기록된 것을 찾을 수 있는데 이를 보면 당시 의술은 불교 및 도교의 영향을 받아 주술적인 행위와 혼합되어 시행되었으며, 일본에서의 의학을 집대성할 때 바다 건너 한국의 처방을 일부 소개할 정도로 한국 의학의 인지도가 있었음을 알게해줍니다.

    고려시대에도 의학의 교류는 활발하였고 의서, 약재의 수출과 수입이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이 시대에 작성된 향약구급방은 현재까지 존재하는 의서 중 가장 오래된 책입니다.

    조선시대에 한국의 한의학은 거대한 발전을 이루며 세종대에는 당시 국내에 존재하던 처방을 모두 모은 향약집성방이 완성되었고, 당시 의학의 백과사전 격인 의방유취 또한 세종조에 만들어집니다. 의방유취는 양이 방대하여 현재 조금씩 연구가 이뤄지고있으나 가장 위대한 작업은 동의보감이었고, 한국의 한의학은 이론의 발전보다 대중화를 초점으로 방향을 돌립니다.

    19세기 말 사상의학의 등장으로 한국의 한의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합니다.

    구한말 현대의학이 들어오면서 한의학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현대 의학을 수용하면서 점진적으로 현대의학으로 이행시킬 기회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경성의학교 교장이자 종두법을 최초로 소개하고 시행한 지석영은 한의사 였고, 얼마 지나지않아 일제강점기를 맞이하게 되며 한국의 한의학은 암흑기를 겪습니다.

    일본은 한의학을 시대에 맞지 않는 의학으로 생각하고 한의사들은 의생으로 격하되었고, 현대의학과 한의학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 또한 컸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서양의사가 부족해 기존 의료인력을 활용할 필요가 있어 기존에 존재하던 의생을 적극적으로 없애려고 탄압하지는 않았지만 점진적으로 새로운 의생의 배출은 억제함으로 도태하려는 시도가 있어 이로 인해 의생 규칙이 시행된지 1년 뒤인 1914년 말 당국에 등록된 의생 수는 5,827명이었는데 해방 직전인 1943년 3,337명으로 30년 사이에 40%감소합니다.

    해방 이후 잔존한 의생들이 모여 의생협회를 설립하고 동양학관이라는 한의학 강습소를 설립하였고 1951년 국민의료법에 의원, 치과의사를 1종, 한의사를 2종의료인으로 구분하였고 1962년 이래 이러한 구분은 사라집니다

    1961년 5.16쿠테타가 발생하면서 학교정비령에 따라 동양의학관이 폐교위기에 몰렸으나 로비로 기사회생했고, 1963년 경영난에 빠져 폐교 위기에 처하고 동양의과대학은 이후 경희대학교에 흡수 합병되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한의학의 역사는 풍부하고 다양합니다. 이 기간 동안 한의학에 뿌리를 둔 한의학은 고유한 특성을 발전시키고 발전시켰습니다.

    조선시대 한의학의 가장 두드러진 성과 중 하나는 해부학, 약리학, 침술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포괄적인 의학 문헌인 "동의보감"의 편찬이었습니다. 저명한 의사 허준이 쓴 이 글은 한국의 권위 있는 의학서가 되었고 한의학의 발전과 보급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동의보감』 외에도 내과를 다룬 『의반야전』, 외과술을 다룬 『본초강목』 등 조선시대에 쓰여진 많은 의학서적들이 있습니다. 이 문헌들은 한의사들에게 널리 읽히고 사용되었으며, 한의학이 독특하고 세련된 의학 형태로 확립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