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7

블랙아이스는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블랙아이스 때문에 대형 교통사고가 난다는 뉴스를 접하게 되는데 도로에 생기는

블랙아이스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 건가요? 겨울철에만 만들어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아이스는 낮동안 내린 눈이나 비가 아스팔트 도로 틈새에 스며들어 있다가 밤에 기온이 낮아지면 도로의 기름, 먼지 등과 섞여서 도로 표면에 얇은 두께로 얼어 붙어서 생기게 됩니다. 주로 겨울철 아침에 다리위의 도로나 터널 출입구 등 온도가 낮은 지점에 발생합니다. 호수가 주변이나 그늘이 있는 커브길에도 자주 발생합니다. 두께가 얇고 색깔이 어두워서 도로가 젖은 것처럼 보이거나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큰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1.17

    블랙아이스는 도로 표면에 생긴 얇은 얼음막입니다.

    아스팔트 표면을 자세히 보면 틈이 많습니다.

    이 틈 사이로 공기 중의 매연과 먼지가 낮은 온도에 의해 수증기와 함께 결합하게 되면

    블랙 아이스가 형성되어 잘 보이지 않는 얼음이 생겨나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만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아이스는 도로 표면에 코팅한 것처럼 얇은 얼음막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블랙아이스는 여러 상황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데요. 낮에 내린 비가 밤사이 얼어 생기거나, 안개가 낀 습한 날 지면에 수분이 얼어붙어 생길 수 있습니다. 지면에 수분이 얼어붙을 정도의 날씨라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아이스는 보통 아스팔트위에 생기게 됩니다. 도로 균열 틈사이로 눈,비가 고이게 되면서 얼게되는것이지요.

    그리고 그위에 먼지들이 엉키면서 검정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행중에 발견하기 어려워

    블랙 아이스라고 불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 온도와 지면 온도가 급변 한 곳에 살 얼음이 생기지요

    특히, 교량,다리,음지 등등은 기온이 낮아 서리가 내리고

    그게 얼어 얼음 바닥이 되는 거죠

    멀리서 보면 블랙아이스가 응달이 생겨 보이지 않습니다

    블랙아이스 지점에 급제동이나 속도를 갑자기 줄이면

    차량이 흔들리거나 제동이 되지 않아 앞차와 충돌이 생길수 있고 차 전체가 회전을 하거나

    차선 밖으로 나갈 경우가 생기지요

    이런 상황이 발생이 안될려면 겨울철로 접어 드는 가을에는

    교량, 다리,응달진곳은 속도를 현저히 줄여야 합니다

    물론 도로공단이 돈이 많이 도로 바닥에 열선 처리 하면

    조금이나마 해결은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