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블루베리산딸기요거트
블루베리산딸기요거트

기준금리 동결할 가능성 높다는데..

요즘 물가 안정됐다고 기준금리 동결할 가능성 높다는데, 가계부채는 계속 쌓이고 경기는 회복 안 되는 것 같고요. 금리를 계속 묶어두면 금융시장에 안 좋은 영향도 있을 텐데, 진짜 지금 금리 동결이 맞는 판단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것에서 어느정도 힌트가 있긴합니다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진정이 되지 않는게 가장큰 문제입니다.

    8월까지 가계부채가 더욱 증가한다는 소식이 있고 이로 인해서 한국은행도 연속적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하기엔 부담이 있다는 생각이 팽배하며 이로 인해서 기준금리 동결로 일단 대응을 하는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데 있어 경제 상황(인플레이션 또는 침체), 가계 및 기업 부채 상황, 세계 경제 동향 전반적인 부분을 고려해서 판단하기 때문에 지금의 상황이 동결될 가능성이 조금 더 높다고 보는 것입니다.(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를 하면 대출 이자율 하락 등으로 이점이 있을수 있으나 금리는 그렇게 단순하게 결정할수 있는 사안은 아닙니다. 우선 금리를 인하하면 물가 상승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가파른 물가를 잡는것과 비교 판단해야 합니다. 금리 인하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원화 약세로 인한 환율 상승도 가능합니다.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경제적 정책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는 동결이 낫다고 보여집니다.

    경제상황이 어렵다고 하지만서도 금리라는 것이 가계부채도 있지만 국가부채와 경상수지에도 영향이 크기 때문인데요.

    2.5%정도에 규제를 하였기에 물가는 잡히고 있는 상황이라 괜찮지만 수출이 양호하게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금리를 내려버리면 수입보다 수출에 대한 경상이익이 줄어들 것입니다.

    기준금리 인하의 타이밍은 일단 부동산 규제로 한번 크게 가라앉힌다음 이전보다 곡소리가 더 크게 나오면서 물가가 현저히 내려앉아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경기가 안 좋아서 기준금리 인하를 계속 하고 있는 중입니다

    올해 5월에 0.25% 인하해서 현재 2.50% 가 우리나라 기준금리이고 올해 1-2차례 인하를 할 확률이 높은 상황입니다

    이달 동결하는건 5월에 기준금리 인하를 한 효과를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준 금리 동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우리가 보기에는 그렇게 보여도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인 파월씨의

    눈에 다르게 보이면 그 사람 주장되로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