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에서 고용시장이 탄력적일 때와 비탄력적일 때는 각각 어떤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나요?
경제에서 고용의 탄력성이
국가들마다 다르게 나타난다고 알고 있는데
고용시장이 탄력적일 때 경제에서의 장점은 무엇이고, 단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고용시장이 비탄력적일 때 경제에서의 장점은 무엇이고 단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용이 탄력적이면 고용을 하는 기업 입장에서 사람을 자유롭게 내보내고 새로운 사람을 쉽게 뽑을 수 있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에 사람 회전이 빠르고 각각 고용된 사람들이 효율을 뽑아먹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자주 바뀌기에 사람들의 숙련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비탄력적인 고용의 경우는 옮기고 싶어도 옮길 수 없고 자르고 싶어도 자를 수 없는 비대칭성 고용시장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용탄력성이라고 하는 것은 경제성장에 따른 고용흡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인데, ‘취업자 증가율/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로 산출을 하게 되며 경제가 1% 성장하게 되는 경우 고용의 변화 %를 나타내는 지표에요. 그렇기에 고용탄력성이 높다는 것은 1% 경제성장에 따른 취업자 수 증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고용탄력성이 낮다는 것은 경제성장에 비해 취업자 수 증가가 적다는 것을 의미해요.
고용탄력성이 높을수록 취업자 수 증가가 크기 때문에 소비 주체의 증가가 빠르게 확산되어 경제 안정화를 취할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상승의 우려가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용시장의 탄력성은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탄력적 고용시장의 장점:
1. 경기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높습니다. 기업들이 수요 변화에 맞춰 고용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2. 노동력 재배치가 원활해 신산업 및 신기술 분야로의 인력 이동이 용이합니다. 이는 경제 구조조정과 혁신을 촉진합니다.
3. 실업률 변동이 경기변동에 따라 크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단점:
1. 고용 불안정성이 커져 근로자의 소득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2. 기업의 인력 투자 유인이 감소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탄력적 고용시장의 장점:
1. 고용안정성이 높아 근로자의 생활수준 유지와 소비 안정에 기여합니다.
2. 기업의 인적자원 투자 유인이 높아져 장기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단점:
1. 경기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낮아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노동시장의 경직성으로 인해 신산업으로의 원활한 노동이동이 어렵습니다.
3. 실업률 변동이 경기변동에 따라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컨대 고용시장의 탄력성 정도에 따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국가별 경제구조와 정책목표에 맞추어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용시장이 탄력적이라면 기업들 입장에서는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서 고용을 늘리고 줄이는 등 할 수 있으나
근로자 입장에서는 근로안정성이 떨어지고
비탄력적이라면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