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관련 용어 중에서 기간이익상실이란 어떤 것인가요?
경제 관련 용어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로 보이는
기간이익상실이란 단어가 있는데
이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용어일까요?
어떤 이익이 상실된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한의 이익 상실이라는 것은 보통 대출을 받은 사람이 연체를 했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우리가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게 되면 은행의 돈을 약속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기한의 이익이 생깁니다
물론 공짜는 아니지만 매월 일정 수준의 이자만 지급을 하면 됩니다
다만 이 이자를 지불하지 않게 되면 이 기한의이익이 상실되어 그 즉시 대출받은 모든 금액을 상환해야 합니다
이 때 상환을 하지않으면 전체 금액에 대해 연체료가 쌓이게 되는 구조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간이익상실은 더 이상 정해진 만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대출금을 즉시 회수할 수 있는 것을 뜻합니다.
즉, 아직 만기가 되지 않았지만 약속한 기간 동안 누릴 수 있던 만기 전 자유롭게 자금을 사용할 이익이 상실되어 대출금 전액을 조기 상환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한이익상실이란 채무자가 빚을 갚을 기한의 이익(만기까지 갚아도 되는 권리)을 상실하는 것을 뜻합니다. 채무자가 이자 연체, 파산, 담보 훼손 등 계약서에 명시된 채무 불이행 사유를 발생시키면, 채권자는 남은 대출 원금 전체를 만기 전이라도 즉시 갚을 것을 요구할 수 있게 되는 강력한 조치입니다. 이는 채권자 보호를 위한 조항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한이익상실은 채무자가 담보를 손상·감소·멸실하거나 담보제공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기한의 이익을 주장하지 못하는 것을 말하는데, 기한이익이 상실되면 만기 전에도 변제기가 도래해 채권자가 남은 채무를 일시에 회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채무자가 대출이나 계약서에서 정해진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원래는 일정 기간 동안 나누어 갚거나 준비할 수 있었던 기한의 이익이 사라져서 채권자가 즉시 전액 변제를 요구하거나 계약성 불이익을 부과할 수 있게 되는 불이익을 받는 상황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한이익상실은 대출받은 사람이 약속한 만기까지 돈을 갚지 않아도 되는 채무자의 권리(기한이익)가 사라지는 것을 말해요.
이 용어는 주로 금융기관이 채무자의 연체나 신용 위험 발생으로 대출금을 만기일이 되기 전에 한꺼번에 회수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즉, 빌려준 돈을 예정보다 빨리 전액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는 조항이 발동되는 것이며, 채무자 입장에서는 분할 상환 혜택을 잃고 즉시 원금 전액을 상환해야 하는 큰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한이익상실은 채무자가 약정된 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남은 기간의 이익을 잃는 것을 말합니다.
즉, 원래는 나눠서 갚을 수 있었던 금액이 기한 위반 순간 전액 즉시 상환해야 하는 상태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출을 할때 금융기관과 대출자간의 계약을 하면서 기준이 되는 약관이 있습니다.
이 약관에 벗어나는 행위를 하는 경우 남은 대출 상환계약이 무효되면서 일시 상환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기한이익상실로 예를 들어 5년 상환기간중 2년 상환하다가 어떠한 잘못(연체, 보금자리론의 경우 추가 주택 취득 등) 남은 대출기한없이 일시상환해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간이익상실이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바로 금융기관이 채무자의 신용위험이 높아지게 되면
대출금을 만기가 이르기도 전에 회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