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사람입니당
사람입니당22.10.03

비의 굵기가 다른 이유가 무엇일까요?

비가 굵게 내릴때도 있고 보슬보슬 내릴때도 있는데 이게 어떻게 해서 달라지는 지도 궁금합니다. 바람이 영향을 주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03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의세기는 지표에서 올라가는 상승기류의 차이와 관련 있습니다.

    한랭전선에서 구름이 만들어진 경우 찬공기가 따뜻한공기 밑으로 파고 들어 밀어 올리기 때문에 위로 올라가는 속도도 빠르고 수직으로 올라가 두꺼운 적운형 구름을 형성하여 굵고 세찬 비가 내립니다.

    온난전선에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경우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를 타고 올라가기 위로 올라가는 속도가 느리고 사선의 비스듬한 형태로 올라면서 얇은 층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하여 가늘고 약한 비가 내립니다.


  • 비의 굵기는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 양, 높이, 온도, 바람 등이 그 중 일부입니다. 비가 내리면 대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축되어 떨어지게 됩니다. 수증기 양이 많고, 높이가 높으면 비가 굵게 내리고, 수증기 양이 적고, 높이가 낮으면 비가 보슬보슬 내리게 됩니다. 또한, 온도가 낮으면 비가 얼어서 우박이나 적설로 내리게 됩니다.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비의 굵기를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비의 굵기 자체는 바람에 의해 달라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형태나 강수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여름철에 자주오는 소나기구름은 적운형으로써 구름의 반경이 작고 높고 길게 쌓여있습니다.

    여기에는 많은 강수가 한정된 지역에 쏟아져 내리므로 빗방울이 굵습니다.


    반면 비스듬한 차가운기단위에 비교적 편평하고 넓게만들어진 먹구름에서는 얇고 가늘고 넓은반경으로 비가 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에 수증기량이 많을 경우에는 물방울들이 병합되어 굵은 비를 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증기량이 적당하여 비가 내릴 정도일 경우에는 물방울의 병합이 적게 일어나 보슬보슬한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즉, 구름 내 수증기량에 따라 굵은 비가 내릴지 가는 비가 내릴지 결정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구름 입자의 크기는 매우 작은데, 이 입자에 수증기가 조금씩 달라 붙게 됩니다.

    이것이 1mm 정도의 물방울이 되면 비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구름이 만들어지는 조건에는 여러 환경적인 요인이 있기 때문에

    1mm가 된다고 반드시 떨어지는 것은 비가 내리면서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당시의 날씨에 의해 대기권의 수증기가 얼마나 응축됐냐에 의해 물방울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