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는 사화가 왜 많았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조선시대는 아주 많은 일들이 일어 났는데 그 중에서도 당쟁 중에 많은 사화들이 일어 났습니다. 그런데 왜 사화가 많았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4대 사화로는 1498년(연산군 4)의 무오사화(戊午士禍), 1504년의 갑자사화(甲子士禍), 1519년(중종 14)의 기묘사화(己卯士禍), 1545년(명종 즉위)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있는 데요. 그 이유는 아무래도 당쟁이 가장 큰 원이 이였다고 생각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사화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사화 등이 대표적이며 장자가 아닌 효종의 초상을 3년상으로 할 것인가 1년상으로 할 것인가와 효종의 비의 죽음어 대해 1년상 혹은 9개월로 당파싸움을 하거나 연산군이 성종실록을 보고 어머니인 폐비윤씨에 대한 기록때문에 벌인 정변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보다 사림이 적극적으로 정치에서 목소리를 낸 결과 소위 '정적'이 많아서 그랬던 것도 있고, 초기 사화의 경우 이미 기득권이었던 훈구파의 입장에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빼앗으려는 사림파를 좋지 않게 본 결과 사화가 발생했던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