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능사를 취득을 하고 전기 기사 시험을 보려면 경력을 어느정도나 쌓아야 하나요?
전기 기사는 관련 학과를 나와야 전기기사를 시험을 볼수 있다고 하던데요
그렇지 않는 경우 전기 기능사를 보고나서 얼마정도 경력을 쌓아야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기능사를 취득한 후 전기기사 시험에 응시하려면 일정 경력이 필요합니다. 기능사 자격을 소지한 경우 최소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을 쌓아야 전기기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 학과 졸업 여부도 영향을 미치는데, 관련 학과를 졸업하지 않으셨다면 실무 경력으로 이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관련 학과 졸업자는 실무 경력이 없어도 바로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공식 자료를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전기기능사를 취득하고 실무경력 3년이상이면 전기기사에 응시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기사 시험에 응시자격 조건이 있어요.
그 중 전기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경력을 쌓으면 시험 볼 수 있는데요.
전기기능사 + 실무경력 3년 이상 있어야 시험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있으니
시험보기 전 꼭 경력이 다 채워졌는지 확인해야 해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기능사를 취득하고 어디 시설관리 같은데 가서 1년만 해도 전기 산업기사를 취득할 수 있는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전기 기사나 산업기사나 어차피 전기를 오래 할 거면은 산업기사를 해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기 산업기사, 전기기사 자격증 응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기사는
1. 기능사 자격증 + 실무경력 1년이상
2. 동일분야 산업기사 이상
3. 관련학과 (2,3년제 졸업자)
4. 4년제 관련학과 전 과정의 반이상 수료자
5. 실무경력 2년이상
전기기사는
1. 신업기사 자격증 + 실무경력 1년이상
2. 기능사 자격증 + 실무경력 3년이상
3. 동일분야 자격 기사이상
4. 4년제 관련학과 졸업자
즉,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시고 실무경력 3년 이상을 쌓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