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대미 투자 3500억달러는 선불이라고 하는데 그럼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나요
현재 우리나라는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것 같아요 그리고 오늘 새벽에
도날드 트럼프가 한국의 대미투자 3500억 달러는 선불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다주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3500억 달러면 거의 500조에 육박하는 금액입니다 그래서 지금 대미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오르는 상황인거죠 절대 먼저 다 줄수는 없는 금액이라 생각하구요 협상을 다시금 잘 해야할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이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선불' 발언은 이 투자가 먼저 이루어져야 관세 인하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즉, 투자 이행 방식과 속도에 대한 미국의 강경한 입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3500억 달러는 현재 한국의 외환보유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금액입니다. 물론 이 금액 전체가 한 번에 현금으로 유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규모 투자금이 단기간에 빠져나갈 경우 외환 시장에 큰 충격이 올 수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과거 IMF 외환 위기 때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선불로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에는 너무나 부담이 있을수 있습니다. 이에 협상 가능한 카드를 빨리 찾아내서 추가적으로 협상을 이끌어 낼수 있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정도 금액을 달라고 한다면 한국위 경제규모로 봤을 때 엄청 심각해집니다.
그걸 매꾸기위해 세금을 더 걷고 더불어 돈을 찍어낸다는 소리인데 이러면 인플레이션이 엄청나게 자극되겠죠
지금도 경제가 힘들어지는 시기에 이정라면 imf급은 불보듯 뻔한거라 저 요구에 합의는 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분 투자를 최소화하고 대부분을 보증으로 하려고 하지만, 미국은 지분 투자 방식으로 달러 현금을 한국에서 받아 투자처를 미국이 결정하고 투자 이익도 미국이 90%를 가져가는 등의 '일본식' 합의를 요구하고 있고, 우리 정부는 미국의 요구대로 3천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금을 제공할 경우 한국이 상당한 외환 리스크를 지게 된다는 점에서 한미간 통화스와프 체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에 한미 무역합의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 3,500억달러(약 490조원)를 선불으로 강조하며,
관세 인하(25%→15%) 전제 조건으로 재확인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현금 지분 투자 요구로, 한국은 보증 중심으로 최소화하려 하나 이견 지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즉시 대규모 자금 투입 시 외환 리스크가 올라갑니다. 바로 최근의 환율 1409원까지 급등하고 있는 상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재정 부담·수익 90%를 미국 귀속으로 경제 압박하고 있는 우리 정부는 통화스와프 요구 중이나, 협상이 장기화 될 전망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자금을 지원해야 보다 원활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를 고려할 것 같습니다. 다만, 이것이 끝이 아니라고 트럼프가 말한점은 조금 걸리긴 합니다. 이것은 결국 기업이 투자를 해야 하는데, 이만큼의 투자가 될지가 의문입니다. 이정도의 큰 금액을 투자하게 되면, 기업이 휘청거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또는 국가가 지원한다면 그만큼 부채가 늘어나는 것이지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으로 다주면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그대로 바닥입니다 연간 국내가 경상수지로 벌어들이는게
300억달러수준입니다 즉 저거를 현금으로 그대로 준다는것은 바로 한국의 환율이 크게 오른다는 말이며 국내 달러자본 유출이 대거 일어나면서 금융 시장까지 크게 폭락하면서 신용위기와 이로인한 국내 금리까지 올라가면서 가계부채까지 터지면 큰 실물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대미투자 3,500억 달러에 대한 내용입니다.
만약에 이를 현금으로 모두 내게 된다면 한국에서는
제2의 IMF가 나올 수 있을 정도로
우리가 받아들이기 힘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발언은 한국의 투자부담을 강조하며 협상 지렛대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당장 선불을 요구 한다기 보다 정치적 압박메세지 성격이큽니다. 한국은 외교, 균형전략을 통해 협상부담을 완화하는 대응이 필요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미 투자 3500억 달러가 관세 인하를 위한 대가라거 주장하며, 투자금을 확실히 내놓아야 관세를 낮춘다는 입장입니다.
이로 인해 한국은 외환 리스크와 부담을 안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