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올라도 월급이 오르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월급 빼고 다 오른다고 하지요. 물가가 상승하면 파는 가격도 오르는데, 월급이 안 오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기업 편을 드는 보수 정당 정권입니다 전 정권은 노동자 편을 드는 민주당 진보 정권이었지요 그 당시는 최저시급이라고 많이 올려놨습니다
정치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도 있지만 워낙에 대기업들이 고용을 안 합니다 중소기업들도 수입이 많이 나지 않고 있고 우리나라는 일자리가 많이 부족합니다 그러니 사실 기업이 노동자들을 함부로 하는 것이지요 저임금에도 올사람은 많으니까요
일자리가 부족하니 자영업자 비율이 굉장히 높은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이 안오르진 않겠지만 상대적으로 느껴지는 격차가 적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매년 최저임금이 오르기 때문에 인건비는 오르지만, 이미 최저임금을 상회한 직장인들은
특히 이 부분을 체감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보통의 회사들이 물가상승률이라고 올려주기는 하지만 실제로 체감되는 것에 비해 적은 것 같기는 합니다.
기업들은 사정이 좋지 않다고 하니 그 사이에서 근로자들만 난감한 상황이 펼쳐지는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먼저 수요가 상승하면서 오르는 호황형 물가인상이 있고
반대로 공급 물건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오르는 불황형 물가상승이 있습니다
현재는 수입물가가 상승하면서 나타나는 불황형 물가 상승이기에 임금은 그대로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보통 대기업들은 물가 상승분에 맞추어서 매년 월급도 상승시켜 줍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오른 물가만큼 기업 손익이 원자재 수입 가격 상승으로 악화될수도 있고, 물가 상승분으로 인한 기업의 수입 상승분이 바로 반영되기 어려운 측면도 있어서 바로 바로 임금 상승에 반영시켜주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에 월급이 물가 상승처럼 바로 바로 오르기 어렵습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