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4.04.03

중력상수란 무엇이고 중력상수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인가요?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서 나온 게 중력상수라고

하던데 중력상수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어떤 것을 기준으로 계산되어 나온 건가요?


중력상수를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 결과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중력상수는 물체 사이의 만유인력을 계산하는 상수입니다. 뉴턴의 만유ㅠ인력의 법칙에서 중력은 두 물체의 질량과 거리에 비례하며 중력상수로 나눈 값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중력상수는 G로 표기되며 약 6.674×10^-11 N·m^2/kg^2입니다. 이 값은 실험적으로 측정되어 정해진 상수이며, 물리학 연구에서 중력을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서 나온 중력상수는 두 물체 사이의 중력 힘의 크기를 결정하는 비례 상수입니다. 두 물체의 질량이 크고 서로 가까울수록 중력 힘은 더 커지며, 중력상수는 이러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나타냅니다.

    중력상수는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되어 왔지만,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캐번디시 실험이 있습니다. 캐번디시는 두 개의 큰 납구를 이용하여 서로에 작용하는 중력 힘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중력상수를 계산했습니다.

    중력상수를 통해 측정 가능한 과학적 결과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구 질량: 지구와 달 사이의 중력 힘과 달의 궤도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지구 질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태양 질량: 지구와 태양 사이의 중력 힘과 지구의 궤도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태양 질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행성 질량: 행성과 위성 사이의 중력 힘과 위성의 궤도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행성 질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 질량: 블랙홀 주변의 별이나 가스의 궤도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블랙홀 질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우주 팽창 속도: 중력상수는 우주 팽창 방정식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우주 팽창 속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