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급격히 올라가면 발생되는 장점과 단점이 궁금하네요
원달러 환율이 올라갔을시 장점과 단점 및 앞으로 향후 우리나라 기업들에 방향성까지 얘기해주시면 더욱더 감사하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강세에 의한 환율이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1.수입기업의 경우는 수입단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판매가격과 수입가격의 조율을 빠르게 대처하지 못합니다.
특히나 유산스(기한부 수입신용장)를 사용하는 기업의 경우는 결제받은 대금과 결제해야 할 대금(달러결제)의 차이에 의해서 지속적인 손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자금의 유동성이 막힐 가능성이 높습니다.
2.수출기업의 경우는 달러 상승에 의해서 가격경쟁력이 향상되어 단시일적으로는 수출실적이 호재이나 장기적으로는 결국 국내 매입처로부터 원자재를 받게되면서 생산판매가격의 상승이 이 효과를 상쇄시켜 버리게 됩니다. 게다가 최근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서 수출실적이 증가하지 못하여 달러강세에 의한 수출증가의 효과도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추석연휴 행복하게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의 상승으로 수출기업이 혜택을 받는 것은 어느정도 임계점이 있기 때문에 지금 수준보다 더욱 상승할 경우
호재로 작용하는 폭은 적지만 수입물가의 상승으로 우리나라 물가에는 전체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수출기업 실적이 발표되는 올해 말에는 수출기업의 지표가 평소보다 잘 나올 것이고, 우리나라의 금리는
물가인상 영향으로 지금보다 높은수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점 - 수출을 할 때 더 많은 이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단점 - 원자재 수입을 할 때에 단가가 높아져 물가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환율이 높아 우리나라 기업에는 유리해보일 수 있으나
보통 환율은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많이 오르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오히려 힘들 수 있습니다. (원자재 수입단가가 높아져 제품생산비용이 올라가기 때문에)
2022년은 전세계에 불확실성이 너무 큰만큼 우리나라기업들에 정말 어려울 것으로 예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