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진기한올빼미129
진기한올빼미12923.12.16

별과 행성의 경계에 있는 갈색왜성의 임계 밀도는 얼마인가요?

별은 거대한 우주 먼지와 가스 구름이 중력의 힘에 의해 점차 합쳐지면서 형성됩니다.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다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어 수소 핵융합이 일어나면서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 즉 별이 만들어집니다. 그렇다면 별이 만들어지는 밀도의 하한선은 얼마일까요? 별과 행성의 경계에 있는 갈색왜성을 기준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중력의 힘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는 거대한 우주 먼지와 가스 구름이 점차 합쳐지면서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다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어 수소 핵융합이 일어나면서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인 별이 만들어집니다.

    별과 행성의 경계에 있는 갈색왜성을 기준으로 설명해보면 갈색왜성은 별과 행성의 중간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별처럼 수소 핵융합이 일어나지만 충분히 큰 질량을 가지지 못해 빛을 내지 못합니다. 따라서 갈색왜성의 임계 밀도는 별보다 낮지만 행성보다는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갈색왜성의 임계 밀도는 대략 0.08 솔라 질량(태양의 질량)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이보다 낮은 밀도를 가진 물질은 별로 진화하지 못하고 행성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높은 밀도를 가진 물질은 갈색왜성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갈색왜성의 임계 밀도는 별보다 낮지만 행성보다는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갈색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목성의 약 13배에서 최대 75~80배 사이의 질량을 유지해야하고, 이 질량에 따라 밀도가 비례하게 됩니다.

    즉, 최대질량 75~80배 목성질량에 맞는 밀도가 갈색왜성의 임계밀도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