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운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이를 예방할 방안은 무엇인가요?
해외 구매자 요청으로 복합운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종종 운송중 화물 손상과 보험 청구 문제가 발생합니다. 복합운송 방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와 계약 조건 설계 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복합운송 방식에서는 운송 중 화물이 여러 단계와 운송 수단을 거치기 때문에 손상이나 분실,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각 구간별로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보험 청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운송 중 발생한 손상의 원인이 특정되지 않거나, 운송업자 간의 책임 분담이 불명확하면 분쟁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려면 운송 계약에서 각 운송업체의 책임 범위를 명확히 정의하고, 전 구간을 포괄하는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화물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고 포장을 강화하며, 화물의 이동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계약 시 국제 규정을 준수하고 손상 발생 시 대처 절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해 두면 리스크를 줄이고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복합운송은 해상, 육상, 항공 등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으로, 운송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문제로는 운송 중 화물 손상, 지연, 분실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보험 청구와 계약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송 계약 시 명확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상업회의소(ICC)가 제정한 인코텀즈(Incoterms) 2020을 참고하여 매도인과 매수인의 책임과 비용 부담을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운송인 인도조건(FCA), 운임지급 인도조건(CPT), 운송비 및 보험료 지급인도(CIP) 등 복합운송에 적합한 조건을 선택하여 각자의 책임 범위를 분명히 할 수 있습니다.
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대비하여 적절한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복합운송의 경우 각 운송 구간마다 적용되는 법규와 책임 범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포괄적인 보험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울러, 운송인과의 계약 시 화물의 포장, 취급, 보관 등에 대한 세부 지침을 명시하여 화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운송인 및 운송주선인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운송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화물 손상이나 지연 등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복합운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원활한 물류 흐름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